▪︎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나린푸실 이야기/신학 이야기 121

목사 혹은 신학교수들은 영성(spirituality)운운할 자격이 없다. 그네들의 가테고리를 지키기 위한 주구(走狗, 앞잡이)일 뿐이다.

의 분석에 의하면, 교회유형의 목사들은 사실 모두 타협론자들이므로 순수한 영성 운운할 자격이 없다. 역시 말한다. 영성 운운하는 목사나 교수들은 시기와 경쟁심이 많고, 대부분 돈과 권력에 대한 욕심이 많았다. 개신교에서 영성은 교회 성장과 돈벌이 수단이 되었다. 그들은 대부분 사회 정의나 교회 개혁에 대하여 무지할 정도로 관심이 없다. ■에른스트 트뢸치(Ernst Troeltsch, 1865 ~ 1923) 독일의 *종교사학파이며 **역사비평의 자유주의 신학자, 철학자, 그리고 사회학자이다. ▪︎의사의 아들로 아우구스부르크에태어났으며, 칸트, 피히테, 슐라이에르마허에 대해 열심히 연구하였고 신앙과 지식간의 화해에 대해 관심이 많았다. 1894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신학 교수, 1915년 베를린 대학교 교수..

▪︎위정척사(衛正斥邪), ▪︎불립문자(不立文字), ▪︎사문난적(斯文亂賊), 이단, 사이비

▪︎위정척사(衛正斥邪) : 개화사상(開化思想)에 반대되는 이념으로 소위 정학(正學)이라 칭했던 성리학과 소위 정도(正道)라는 성리학 적 질서를 수호하고, 성리학 이외의 즉, 서학인 천주학은 물론 동학등의 모든 종교와 사상을 사학(邪學, 사이 비)으로 보아서 배격해야 한다는 조선 후기시대 기득권의 시대적 사고. ▪︎불립문자(不立文字) "문자로써는, (붓다등 성현님들의) 가르침을 세울 수 없다" 신자(佛徒, 信徒)라면 그의 깨달음 은,이심전심(以心傳心) 즉,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는 것이므로 말이나 글 에 의지하지 않는다는 *염화시중 (拈華示衆)을 떠 오르게 한다. (*싯탈타 붓다가 연꽃을 들어 대중에게 보였을 때 나이가 가장 많았던 '가섭'만이 그 뜻을 깨달아 미소지었다.) ▪︎사문난적(斯文亂賊) 고려와 ..

안병무, 변선환

안병무(安炳茂, 1922 ~ 1996) 대한민국의 신학자이며 한신대학교의 교수였다. 민중신학의 창시자로 불린다. 호는 심원(心園)이다. 1922년 평안북도 안주에서 태어났으며, 간도에서 청소년기를 보냈다. 서울대학교에서 사회학을 전공했고, 하이델베르크대학교에서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7년 여성운동가 박영숙과 결혼했고, 박영숙과의 사이에 아들을 두었다. 1973년 한국신학연구소를 설립하여, 한국의 민중신학 연구에 몰두했다. 현재도 한국신학연구소는 계간지 《신학사상》(神學思想)와 신학서적들을 간행하고 있으며, 진보적인 기독교출판사 중 한 곳으로 평가받는다. 안병무는 1953년 5월 17일 한국기독교장로회 향린교회를 홍창의 등 12명의 형제들과 함께 ① 생활공동체 ② 입체적 선교공동체 ③ 평신도교회 ④..

무당적 신앙과 미신적 문화의 나라

무당적 신앙의 나라 미신적 문화의 나라 천공풍수 건진역술의 나라 윤석열-김건희의 나라 ■종교가 병들고, 정치 리더쉽이 병들고 .. 검찰은 물론 사법이, 언론이, 사회가 병들어 간다. ☆기독교 신학자 특히 카톨릭 사제들이나 개신교 목사들은, 신화적 그리고 미신적 사고 바탕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다. 말하자면 논리적인 합리적인 과학적인 사고를 벽안시하는 넌센스(Non m.cafe.daum.net

킹제임스 성서역 King James Version

■1611년에 1차 공인된, 킹제임스 역이 준비되어 출판되었습니다. 성경의 영어 번역본들 중 하나로, 그 이름대로 제임스 1세의 명으로 편찬한 성경이다. 영어권에서 가장 많이 읽혔고 가장 널리 알려진 성경이며 대표적인 약자는 KJV. 한자로는 흠정역(欽定譯)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Authorized Version을 번역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여기서 authorized의 뜻은 '영국 국교회(현, 성공회) 전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왕이) 인가했다.'는 뜻이다. 오늘날에도 많은 개신교 신자들이 사용하는 성경이며, 또한 킹 제임스 역은 영어 문화권에서 가장 중요한 책들 중 하나[9]이자 영어권 세계의 형성에 원동력으로 묘사되어 왔다. 이전 개신교 성경과 달리 KJB는 바티칸의 수호 여신인 "동정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