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6. 가난한 사람은 왜 가난해야만 하는가? 8

■세계가 효율적인 분배가 되지 않는다.

미국 인구의 40%가 비만이고, 세계 곡물생산 능력은 150억명이 먹을 수 있는 양입니다. 그러나 지금도 8억명이 굶주리고 5초에 한명씩 굶어 죽습니다. 시장이 자원을 적절하게 분배한다는 거짓말을 이완배 기자가 고발합니다. https://vop.co.kr/A00001633521.html [이완배 협동의 경제학] 시장은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지 않는다 vop.co.kr

1839년 9월 2일, “땅은 사유재산이 아니다” 헨리 조지 (Henry George, 1839 ~ 1897) 출생

1839년 9월 2일, “땅은 사유재산이 아니다” 헨리 조지 (Henry George, 1839 ~ 1897) 출생 헨리 조지 (Henry George, 1839년 9월 2일 – 1897년 10월 29일)는 미국의 저술가, 정치가, 정치경제학자이다. 그는 단일세(Single tax)라고도 불리는 토지가치세의 주창자였으며, 조지주의(Georgism, Geoism, Geonomics)라고 불리는 경제학파의 형성에 영향을 끼쳤다(조지주의는 지공주의라는 우리말로 순화되어 사용된다). 헨리 조지는 19세기 후반에 카를 마르크스와의 논쟁에서 자본과 토지를 구분하지 않는 마르크스주의를 비판하였다. 1891년 로마 교황청이 토지공개념에 대해 반대하는 교황 레오 13세의 회칙 새로운 사태(Rerum Novarum)를 반..

진보와 빈곤(Progress & Poverty) - 헨리 조지

진보와 빈곤, 그리고 산업 불황의 원인과 부의 증가에 따른 빈곤 증가: 그 구제책(The Remedy)을 사회 이론가이자 경제학자인 헨리 조지가 1879년에 저술한 책입니다. 빈곤이 경제 및 기술 발전을 동반하는 이유와 경제가 주기적으로 호황과 불황을 겪는 경향을 보이는 이유에 대한 논문입니다. George는 역사와 연역적 논리를 사용하여 천연 자원과 토지 소유권에서 경제적 지대를 포착하는 데 초점을 맞춘 급진적 솔루션을 주장합니다. 조지의 첫 번째 책인 진보와 빈곤(Progress and Poverty)은 1890년대에 성경을 제외하고 미국에서 팔린 다른 모든 책을 능가하는 수백만 부가 팔렸습니다. 지금은 '조지주의'로 알려진 이데올로기... 예를 들어, Jacob Riis는 이 출판일 때문에 1879..

5. 바이블에 나타난 차별과 폭력과 갈등 - 1

자본(주의)의 특성 자본주의, 그 이윤추구라는 무서운 특성, 특히 대자본의 약탈적 속성으로 노동자는 끊임없이 착취를 당하게 되어 가난한 사람을 더 가난하게 만들고 있다. 그러므로 제어 받지 않는 자본주의는 어느체제보다도 잔인하게 나타나게 된다. 물론 그런 체제하의 종교(정치)도 다르지 않다. ◎바이블에 나타난 차별과 폭력과 갈등 - 1 1. 유대문학에서 가난한 자에 대하여 긍정적인 표현으로 직접 언급한 것은 복음서에서 처음으로 발견된다. 그러나 이것은 구약에 흐르는 사상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1] 복음서에서 가난한 자는 경제적으로 혜택을 입지 못한 사람, 사회적으로 소외되거나, 신체적으로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으로 확대할 수 있다.[2] 마태복음이나 마가복음보다 오히려 누가복음은 전통적인 자료를 ..

4. 종교적 측면

1. 인간의 1%가 99%를 지배하는 시대에 성서에서 상고할 일 하나는, 이사야 66장 3절과 같이 일반 백성들은 감히 행할 수 없고 권력과 부를 지닌 자들이어야만 행할 수 있는 상황을 말하고 있는 이사야, 미가, 말라기 등 유대 선지자들은 목숨을 걸고 독을 뿜어가며 그들의 나라 권력자들의 잘 잘못을 지적하고 그들의 하나님인 야훼의 심판을 외쳤었는데, 권력을 가진자들의 참회가 없는 그들 나라는 민심이반으로 결국 망해 버렸다. 솔로몬시대 이후 국가의 부가 바르게 배분되지 않고 국가의 부(富)가 욕망의 포로가 된 지배 계층들에게 독점됨에 따라 사회계층의 양극화 현상이 시작되어 먹이사슬 속으로 들어가 없는자들은 채무노예로 전락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시내산 언약의 평등주의와 지파간의 형제애를 상실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