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고대중동 이야기 4

[인류역사의 시작] 수메르 문명과 인문학 - 2

인류역사의 시작, 수메르 문명과 인문학 (II) 1. 인문학은 인간 본질의 정수를 성찰할 수 있는 문, 사, 철 (문학, 역사, 철학)이 주된 탐구영역인데, 이번 탐구의 주제는 인류초기 문명의 역사를 통해 인간됨의 본질을 성찰해보고자 한다. 2. 인류의 문명은 농경, 정착과 함께 시작되었다 (사실 문화 culture라고 하는 말도 cultivate, 경작이라는 말에서 나온 것이다). 3. 현재 알려진 가장 오래된 문화와 역사는 메소포타미아에서 시작된 수메르 문명이다 (BC 3700 – BC 2000) 4. 수메르문명을 ‘인류역사의 시작’이라고 부르는 의미는 인류역사가 훨씬 더 오래 되었지만 수메르 전의 인류는 자신들의 문명과 역사를 기록해 놓은 문자가 없었기 때문에 자신들의 삶과 문화를 기록해 놓은 수메..

[책] 인류최초의 문명, 《역사는 수메르에서 시작되었다》

≪≪《역사는 수메르에서 시작되었다》≫≫ (펌)리뷰 올해 초 이라크 전쟁이 발발하여 수많은 유물들이 파괴되었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가슴이 아팠다. 그곳은 바로 인류문명이 최초로 시작된 수메르 문명의 발상지이기 때문이었다. 미국의 석유 패권을 위한 전쟁은 무고한 생명을 빼앗아간 것뿐만 아니라 인류전체의 재산을 송두리째 빼앗아간 야만이었다. 수메르란 기원전 3000년경 메소포타미아 지방에 건설된 여러 도시국가들을 통칭하는 말이다. 쐐기 문자가 새겨진 점토판을 통해 당시의 삶을 전하고 있는데, 이것들은 모두가 '최초'이다. 이 최초들을 하나하나 살핀 책이 있는데 바로 수메르 연구의 대가 새뮤얼 노아 크레이머가 쓴 이다. 이 책은 평이하고 당연한 제목이 색다르게 느껴질 정도의 내용들을 담고 있다. 최초의 문명이라..

[인류역사의 시작] 수메르 문명과 인문학 - 1

인문학의 주제, 역사 16 / 09 / 2021 - 주경식 엮음 ※참고도서 ☞1. 새뮤얼 노아 크레이머, 역사는 수메르에서 시작되었다, 박성식옮김(서울: 가람기획, 2020) 인류 역사상 최초의 학교는 어디에 있었을까? 인류 최초의 의학, 법학, 농업 체계는 누가 만들었을까? 역사상 최초의 재판 판례는, 그리고 최초의 사랑 노래는 언제 어디에서 찾아볼 수 있을까? 그 답은 모두 수메르 문명의 기록 속에 담겨 있다. 수메르 문명은 지금으로부터 무려 5,000여 년 전인 기원전 3000년경부터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찬란한 문화를 꽃피웠던 고대 문명이다. 수메르인들은 고유의 쐐기문자 체계를 정립하고 이를 통해 자신들의 이야기를 점토판에 꼼꼼히 기록해 두었다. 덕분에 우리는 고고학적 발견과 함께 수메르인들의 삶..

▶수메르(Sumer)

1. 수메르(Sumer)는 메소포타미아의 가장 남쪽 지방으로 오늘날 이라크의 남부 지역이다. 수메르 문명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문명으로 그들이 어디서 왔는지는 정확히 모르지만, 수메르인은 대략 기원전 5,500년에서 기원전 4,000년 사이부터 수메르 지방에서 살기 시작하였다. 2. 수메르 문명이 가장 융성했던 때는 기원전 제3천년기로, 역사학자들은 통상적으로 이 1000년의 기간을 크게 초기 왕조 시대(2900?~2350? BC), 아카드 왕조 시대(2350?~2150? BC), 우르 제3왕조 시대(2150?~2000? BC)의 세 시대로 구분한다. 3. 그 후 기원전 2000년 쯤에 유프라테스 강의 서쪽 즉 아라비아에서 온 셈족 계통의 아모리인이 수메르 지방을 점령하고 고대 바빌로니아를 세움으로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