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1. 출애굽 그리고 가나안 정착 31

출애굽기에서, 가나안으로 가는 여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주목할만한 인물들중에서 ......

①아론Aaron은 모세의 형으로 이스라엘의 첫 번째 대제사장이었습니다. 그는 특히 이집트에서 파라오와 처음 대면할 때 모세의 대변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아론은 파라오 앞에서 기적을 행하고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을 이집트에서 인도하는 것을 돕는 일에 관여했습니다. 그러나 아론은 모세가 시나이 산에 있을 때 금송아지를 만드는 일에 관여하는 등의 도전과 실수를 저질렀습니다. 그의 결점에도 불구하고 아론은 중요한 인물로 남았고 신권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②미리암Miriam은 모세의 누이이자 여선지자였습니다. 그녀는 이스라엘 백성이 홍해를 건넌 후 여자들을 이끌고 승리의 노래를 부르는 출애굽 과정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Miriam의 역할은 여행 자체에 국한되지 않았습니다. 그녀는 또한 모..

여호수아 기록의 역사성

여호수아서(Sēp̄er Yəhōšūaʿ)[1]는 히브리어 성경과 기독교 구약성서의 여섯 번째 책이며, 신명기 역사의 첫 번째 책으로, 가나안 정복에서 바빌로니아 포로까지.[2]: 42 가나안 중부, 남부 및 북부에서 이스라엘 백성의 캠페인, 적의 멸망, 두 지파로 구성된 열두 지파 사이의 땅 분할에 대해 알려줍니다. 세트피스 연설, 첫 번째는 땅의 정복을 명령하는 하나님의 명령, 그리고 마지막에는 여호수아가 모세에게 계시된 율법(토라)의 충실한 준수의 필요성을 경고하는 두 번째 연설.[3] 학자들 사이에 강력한 합의는 여호수아서가 초기 이스라엘에 대한 역사적 가치가 거의 없으며 훨씬 후대를 반영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4] 이 책의 가장 초기 부분은 아마도 정복 이야기인 2-11장일 것입니다. 이 ..

(5-4) 힉소스(Hyksos) .. BC 17C 야곱과 요셉 그리고 BC 16C모세 .. 그리고 고대 이집트 이민족 파라오 (Hyksos Pharaoh)

■이집트 비옥한 고센(알렉산드리아)땅에서, 선조들의 땅 가나안으로 .... ㅡ ①BC17세기 경에 이집트를 칩입하여 15-16왕조의 파라오가 되었던 가나안족인 힉소스(함께 칩입해온 야곱족속은 고센땅에 정착) ㅡ ②상이집트에서 다시 힘을 키운 원-이집트 파라오는, 다시 하이집트까지 수복하며 힉소스족을 이집트에서 완전히 몰아냈다. ㅡ ③해안길을 따라 이동하려했던 힉소스 가나안족은, 강력한 미탄니 왕국에 가로막혀 다시 가나안으로 이동해 그곳에 정착했다. ㅡ ④세기가 지난후, 원 이집트 파라오에 의해 노예생활을 하게 된 고센땅의 야곱의 히브리족은 모세라는 인물에 의해 애굽을 떠나, 파라오 군대와 히타이트 군대를 피해, 위의 그들의 선조가 밟았던 광야길로 들어서 가나안으로 향했다. .https://james-ka..

■5-5, BC17세기 힉소스 이집트 왕국, BC16세기 전후 미탄니 왕국 & BC15세기경 모세의 Exodus

이집트 15 왕국 힉소스 파라오 수도 : 아바리스(Avaris) ※ 고대 이집트 신왕국 제19왕조 제3대 파라오, 람세스2세 (Vs.) 히타이트 신왕국, 제9대 왕, 무와타리 https://james-kang-2019.tistory.com/57 6-5 어떻게 모세의 무리들이 40년간을 시나이 광야에서 생존할 수 있었을까? 6.5 (이집트 왕국과 힛타이트 제국) 그리고 유목민도 아닌, 모세의 무리들이 출애굽하여 40년간을 시나이에서 살아갈 수 있었던 까닭? ■아브라함의 짝퉁 이야기와 같은, 모세의 출애굽 이야기, 1. james-kang-2019.tistory.com https://james-kang-2019.tistory.com/61 7-3. (맺음) 출애굽 연대설과 가나안 정착설에 대한, 필자의 생각 ..

아브라함 모세 람세스 2세 카데시 전투 미탄니 왕국

아브라함 BC2000경 함족 근친결혼/사라 모세 셈족 이방인과 결혼 (켄족, 이드로의 딸 / 십보라) BC1571년 or BC1270년경 카데시 전투 이전에 미탄니 왕국이 이집트 북쪽을 지배할때 출애굽 람세스 2세(Ramesses II, BC 1303년 ~ 1213년)는 이집트 신왕국 제19왕조 제3대 파라오(재위:BC 1279년 ~ 1213년)이다. 카데시 전투(Battle of Kadesh, BC BC1274. 5.) 람세스 2세 무와탈리 2세 투트모세 3세와 카데시 왕의 연합군 사이의 므깃도 전투(Battle of Megiddo, 기원전 15세기). 비교적 신빙성 있는 디테일로 받아들여지는 것에 기록된 것은 최초의 전투이다. 전투는 23년 I Shemsu 20일째(또는 21일째)에 발생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