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믿음 6

#신앙, #종교, #신학, #철학, #기독교철학

■믿음의 원천이라는 믿음을 믿는데서 출발하는 신앙, 그리고 그 신앙이 system화 된 것이 종교다. 신학은 그것을 옹호하고 방어하기위해 믿음에서 출발하여, 작가적상상력을 바탕으로 추론하여 논리화 시킨것이다. (JK) ■은 일반적으로 특정 신앙 체계의 맥락 내에서 《신앙과 종교》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은 《현실과 지식의 본질》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보다 일반적인 탐구이며 더 넓은 범위를 포괄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종교적인 주제를 넘어선다. (JK) ■신학과 기독교 철학은 서로 관련된 연구 분야이지만 서로 다른 초점과 접근 방식을 가지고 있다. (사상가 배출) 신학과 기독교 철학은 모두 기독교 신앙과 개념에 대한 조사를 포함하지만, ▪︎신학은 주로 기독교 내의 신앙과 종교적 《교리》의 문..

■측근이 되야만 하는 삶이냐? 아니면, 착한행실 속의 삶이냐?

■칭의론(Justification) ▪︎믿음(Faith)으로 의로움을 얻는다는 칭의론, 시대마다 믿음에 대한 시대적 방편이 바뀌면서, 특정민족이나 집단이 신(神)이나 신적 존재에게 선택되어 다른 민족 타집단에 비해 우월한 지위를 가진다고 믿는, 선민(chosen people)이라는 차별의식의 굴레를 강조하는 언어유희가 아닌가 한다. ▪︎당시 앗시리아등 강대국에 고통받던 하박국이나, 이방인의 개종을 위하여 주장했던 바울처럼, 교회를 통해야만 하느님의 대리자 교황에 의해 구원 받는다며, "카톨릭 교회의 관대함"이라는 "면벌(죄)부"를 팔던 타락한 카톨릭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소위 칭의론이 시대적 방편으로 그 당시에는 교황에 대항하기 위한 루터의 공격무기가 되었다. ■착한행실(Good Works, Good D..

종교도 치유되어야 한다

《■》신앙도 선택의 결과다. 1. 를 객관적으로 본다면, “필요한 것을 얻고, 힘의 근원이 되며, 변함이 없고, 가장 신뢰할 수 있으며, 도움 받을 수 있는, 세상을 초월한 어떤 ... '힘', 그 뭐시기에 대한 믿음을 갖고 삶으로 정진해 나아가는 것” 이라고 필자는 본다. 2. 그러므로 신앙이란 볼 수도 없고 알 수도 없는, 신(神)이라 명명한 어떤 존재에 대해, 그에 대한 확신을 갖고 있다는, 어떤이가 말하는 것을, 진리로 받아들여 종교화 되어, 믿음의 특별한 체제를 확신하거나 신뢰하는 것이다. 따라서 신(神)과 같은 숭배의 대상이나 그에 관해 썼다는 경전과 그에 따른 교리, 율법과 같은 종교적 규범, 성지순례라는 특정한 종교적 장소등이 믿음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3. 과학(철학)적 사고가 현저히 ..

신앙과 예배의식

■ 현재 21C를 사는 지금도 신앙과 예배의식은 2천년전 이상의 고대인들이 그들의 신들에게 행했던 것들과 맥락은 여전하다. ■ 인내천(人乃天) ▪︎ 2천년전 그리고 the Kingdom of God이라는 왕정시대 배경에서 나온, King James버젼에 아직도 메어있는 기독교. ▪︎ 21세기 모든 주권은 국민으로 부터 나오는 시대에 살고 있는데 ... the People's Peace(ful) Land (of God). ▪︎ 이제야 말로 '사람이 곧 하늘이다'라는 명제를 실현할 시대가 도래했다. 인권은 하늘이 주신 선물이다. 지금 한국이라는 나라만큼은, 사람이 하늘처럼 대접을 받아야 하는, 더 명확해진 세상을 지금 살아가고 있다. ▪︎ 종교는 더는 아편과 같은 몽롱한 하늘나라 이야기로 세상의 초점을 흐리..

■ "무엇을 너는 지금 알고 있느냐."

■ 인식론(認識論), 인식론은 앎 혹은 지식의 본성과 범위를 연구하는 철학의 분과에 해당한다. 말하자면, "참다운 앎이란 무엇인가?", "우리는 지식의 의미를 명확히 알고 있는가?", "인간은 어디까지 알 수 있는가?" 등의 물음을 통해 진리와 인식의 문제를 다루는 학문이다. *존재-론(存在論) 존재 그 자체, 또는 그것이 지니고 있는 공통적이며 근본적인 규정을 고찰하는 학문. = 본체론(本體論). 존재학. 실체론. (이상 위키) ■인식론(認識論,지식론 : Epistemology) ■무엇을 지금 너는 알고 있느냐 의식적으로 혹은 무의식적으로 자신이 알고 있다고 믿는 그 범주내에서 살다 가는것이 인생이라는 것을 세밀히 그리고 어렵게 만들어 논 철학논제라고 할까요.... 사람들은 일단, (자신과 다른) 남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