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나린푸실 이야기/신학 이야기

목사 혹은 신학교수들은 영성(spirituality)운운할 자격이 없다. 그네들의 가테고리를 지키기 위한 주구(走狗, 앞잡이)일 뿐이다.

Narin Pusil 2022. 12. 28. 21:30

<에른스트 트뢸취>의 분석에 의하면,

교회유형의 목사들은 사실 모두 타협론자들이므로 순수한 영성 운운할 자격이 없다. 

<박충구> 역시 말한다. 

영성 운운하는 목사나 교수들은 시기와 경쟁심이 많고, 대부분 돈과 권력에 대한 욕심이 많았다. 

개신교에서 영성은 교회 성장과 돈벌이 수단이 되었다. 

그들은 대부분 사회 정의나 교회 개혁에 대하여 무지할 정도로 관심이 없다. 

 

■에른스트 트뢸치(Ernst Troeltsch, 1865 ~ 1923)

 

독일의 *종교사학파이며 **역사비평의 자유주의 신학자, 철학자, 그리고 사회학자이다.  

 

▪︎의사의 아들로 아우구스부르크에태어났으며, 

칸트, 피히테, 슐라이에르마허에 대해 열심히 연구하였고 

신앙과 지식간의 화해에 대해 관심이 많았다. 

1894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신학 교수, 1915년 베를린 대학교 교수를 지냈다. 

 

▪︎트뢸치의 학문 영역은 다채로워 

신학, 종교학, 윤리학, 역사철학, 문화사, 정신사, 종교사회학 등에 관한 방대한 저서가 있다. 

그의 학문적 관심은 크게 둘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현대의 문화적·종교적 전체상황을 인식하기 위해 

             근대세계 형성의 여러 원인을 찾고, 또 그리스도교와

             일반문화 상황과의 역사적 관련을 결정하기 위해 고대까지 고찰을 소급시켰다.

 

▪︎둘째는 역사적 사실에 대해서 영원히 절대적 가치와 일시적 가치를 구별하는

           초역사적 가치를 추구하여 역사의 흐름에 방향과 규범을 주려고 하는 이상주의적·실천적 입장이다.  

 

▪︎트뢸치는 하나님의 계시가 모든 종교에 동일하게 적용됨을 강조하였다.

즉, 기독교의 계시의 독점성을 부인한 것이다.

이것은 기독교가 다른 종교보다 절대적이다는 생각을 부인하는 결과를 낳았고,

하지만 기독교는 상대적으로 우월성과 규범성은 인정하였다.

이러한 그의 태도가 타종교에 대하여도 관용을 베풀어야 한다는 결론을 가져오면서

자유주의신학의 정체성을 가져오게 하였다.

 

▪︎이런 그의 관점은 정통주의 기독교로부터 그리스도 없는 기독교라는 평을 받았다.

 하지만 종교다원주의자들에게는 환영을 받았다.

 

 

*종교사학파

: 1890년대 독일 괴팅겐 대학교를 중심으로 나타난 독일 개신교 신학자들의 신학 운동을 의미한다.

ㅡ 학파의 대표적인 학자들은  베른하르트 더함(1873), 알버트 아이크혼(1856-1926;1886), <헤르만 궁켈>(1888), 요하네스 바이스(1888), 빌헬름 부셋트(1890), 알프레드 랄프스(1891), <에른스트 트뢸치>(1891), <윌리엄 브레데>(1891), 하인리히 핵크만(1893), 그리고 <루돌프 오토>(1898), 휴고 그레만(1902), 빌헬름 하이트뭘러(1902)가 있다. 칼 미르뱃(1888), 칼 클레멘(1892), 하인리히 바인엘(1899)과 젊은 시절의 폴 베르넬(1897)도 여기 분류된다. <루돌프 불트만>이 3세대 종교사학자로 분류된다.

 

 

**역사비평(Historical criticism,  historical-critical method , 고등비평 higher criticism)

ㅡ  기독교의 전통적 성서해석 방법인 역사적 성경해석에 포함되는 근대의 성경 해석 방법 중의 하나이다.

 

ㅡ  역사 문학 비평은 주로 그것이 쓰여진 역사적 시기에 대한 주제의 관련성, 관계 및 영향에 초점을 맞춥니다. 역사 평론가는 시대가 작품 저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작가의 삶에서 일어난 사건이 그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봅니다.

 

ㅡ  작가의 삶과 당시의 역사적, 사회적 상황에 대한 사실을 포함하여 역사적 증거 또는 작품이 쓰여진 맥락에 기초한 역사적 비평, 문학적 비평으로   서구 문명의 많은 부분을 알려주는 책인 성경 분석이 포함된다.

 

ㅡ 이는 16세기 종교개혁 시기에 활용하였던 역사 문법적 성경해석에서 발전한 형태로 "텍스트 뒤에 있는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고대 텍스트의 기원을 조사하는 비평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