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나린푸실 이야기/신학 이야기 120

■육체의 부활은 과연 가능한가?

하나님의 나라, 영생이니 부활이니 하는것들과 같은 단어의 의미는, 헬라문화 전통속에 로마제국과 헤롯왕정, 헤롯성전 종교권력이 지배하던 지금으로부터 2천년전 살고계시던 예수님의 비유적 언어구사라는 것이 전제가 되는 것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체제강화를 위한, 낡은 것을 골동품(Antique)으로 둔갑시키는 문학(학문)적 사기꾼들의 소위 학문화 작업에 지배를 당하게 되니까요. "영생"이라는 것도, Everlasting Arm을 바랬던 그런 마음의 평화을 얻는, 락도(樂道, Carpe Diem)를 얻는 삶인 것이지요. (JK) □부활(Resurrection, Easter) □작가적상상력(Writer's imagination) □신화화(神話化, Mytho logization) □하나의 산물(産物,prod uct)..

■셸비 스퐁(Bishop John Shelby Spong

■과정신학(Process theology)처럼, 신학(Theology)이 의문과 질문이 전제되어야 하는 그래서 학문(Academic Discipline)이 되어 가는, 그 신학을 가르치셨던 셸비 스퐁(Bishop John Shelby Spong, 1931 ~ 2021. 9. 12)의 죽음에 애도를 표하며 그가 주장했던 말들을 다시 생각합니다. ■ (서평) 신학이 변해야 교회가 산다. 1. 필립 클레이튼 교수의 , 《신학이 변해야, 교회(사회)가 산다.》 라는 책에 대한 입니다. 2. 책에 후반부는 교회운영에 관한 것이기에 전반부에 대한 서평입니다. 책을 전부 읽는 것보다 이 서평 하나면 이해가 될것이라 사료됩니다. 3. 60년대 한창이던 필립의 과정신학적 사고입니다. 학문이 시대 시대마다 변화 하듯이 신..

♧기독교·불교 회통(會通)한 종교학자 길희성 별세

종교에서, 자기실현으로 (JK) ㅡ 화해소통 (和解疏通)의 뜻으로, 언뜻 보기에 모순되는 듯한 여러 주장을 모아 서로 맞추어 일치점을 발견하는 것 Conciliation or harmony of diverse opinions: Its chief arbiter(중재자) was the Venerable Korean Priest Wonhyo (617-686). ■길희성 서강대 명예교수가 9월 8일 향년 80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예일대에서 신학으로 석사학위를, 하버드대에서 비교종교학으로 박사학위 ▪︎고인은 목사였던 외조부를 비롯해 목사와 장로들이 많은 집에서 태어난 크리스찬으로, 1987년엔 한완상 교수 등과 함께 평신도공동체인 새길교회를 설립하기도 했다. ▪︎그는 고려시대..

■교회 상업자본주의 역사

■상업자본주의 교회사업에 의한 희생물들 .. (박충구) 1970년대를 지나며 경제적 풍요가 주어지자, 교회는 자본주의 경제와 제국주의의 힘 앞에서 성서를 왜곡 해석하기 시작했다. 돈과 권력을 하나님의 축복이라고 가르침으로써 신자에게 욕망 충족의 길을 열어주었다. 자유, 정의, 평등, 평화는 강단에서 사라지고 복종, 침묵, 우월성, 호전성을 가르치는 집단 이기적인 교회로 변종 진화했고, 여기저기 진지구축형 대형교회가 우후죽순 생겨났다. (제임스강) 교회의 상업행위가 시작된 것이, 한참 수출한국의 위용을 들어내던 그래서 서울로 밀려들던 1970년도 한국교회 부터가 아니라, 적어도 3세기 이후부터 교회는, 가진자(종교권력)의 먹거리터가 되어 있었지요. 교회사가 증명해줍니다. (Ex.) 당시 북아프리카의 전체를..

성직자와 안티크리스트

■신정(Theocracy)-왕정(Monarchy) 군주지배하의 문맹자시대인 지난날이면 몰라도, 고학력에 정보 입수가 더욱 눈부시게 빨라진, 정보화시대(information age) 그리고, 시민주권 국가시대인 21세기 오늘날에도, 그들은 왜? 아시다시피 인, 성직(church divine hierarchy)을 고집하고 누리려 하는가? ■신은 죽었다. ㅡ 신 자체를 비판한 것이 아니라, 1500년간을 지배해오던, 카톨릭종교제국은 물론, 그곳의 부패와 교만 그리고 거짓을 꼬집고 구데타로 신흥종교세력을 만든 루터나 칼빈의 (개)신교 조차도 부패-교만-거짓말을 버리지 못하는 크리스트교의 종교적 문제점을 비판하면서, 왜 크리스트교가 비판당할 수 밖에 없는지를 논리적인 이론 체계를 갖춘 니체의 주장이다. 니체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