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나린푸실 이야기/신학 이야기

성직자와 안티크리스트

Narin Pusil 2023. 7. 25. 09:23

■신정(Theocracy)-왕정(Monarchy) 군주지배하의 문맹자시대인 지난날이면 몰라도, 고학력에 정보 입수가 더욱 눈부시게 빨라진, 정보화시대(information age) 그리고, 시민주권 국가시대인 21세기 오늘날에도, 그들은 왜? 아시다시피 <신전 무당의 후예(Descendant of the Shrine Shaman)>인, 성직(church divine hierarchy)을 고집하고 누리려 하는가?

 

 


■신은 죽었다.

 

ㅡ 신 자체를 비판한 것이 아니라, 1500년간을 지배해오던, 카톨릭종교제국은 물론, 그곳의 부패와 교만 그리고 거짓을 꼬집고 구데타로 신흥종교세력을 만든 루터나 칼빈의 (개)신교 조차도 부패-교만-거짓말을 버리지 못하는 크리스트교의 종교적 문제점을 비판하면서, 왜 크리스트교가 비판당할 수 밖에 없는지를 논리적인 이론 체계를 갖춘 니체의 주장이다.

 

니체의 "Gott ist tot"

"최근에 일어난 최대 사건 ㅡ '신은 죽었다 (Gott ist tot)'는 것, 기독교 신에 대한 신앙은 믿을 수 없는 것이 되었다는 것 ㅡ 은 유럽에 이미 그 첫 그림자를 드리우기 시작했다. (.. 중략 ..) 신 자체가 우리의 가장 오래된 거짓말이라는 것이 이제 입증된다면?"     
(프리드리히 니체,  『즐거운 학문』 제5부 우리들 두려움 모르는 존재들)

니체는 『도덕의 계보』에서,

 

현재의 세대는 이전 세대의 희생과 업적 덕택으로 존속해왔다는 부채의식 때문에 조상이 만든 모든 관습에 복종하게 되었고, 이런 복종의 의무는 필연적으로 조상에 대한 공포를 불러일으켰으며, 조상에 대한 공포는 그 자체의 상상에 의해서 종내에는 어마어마한 존재로 커지게 되어 결국에는 그것이 하나의 신으로 변형되었다고 주장한다. 즉, 니체에 따르면 신은 조상에 대한 공포로부터 기원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주장, '신 자체가 우리의 가장 오래된 거짓말'이라는 이 주장은, 혼자만의 생각이 아니라 사실 그의 시대에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이미 널리 퍼져 있었다는 것이 니체의 지적이다. 그래서 니체는 『즐거운 학문』에서, '신은 죽었다'를 언급하면서 '우리가' 그를 죽여버렸다고 말한다. 그리고 신에게 복종하고자 하는 목표를 상실하게된 인간은, 이제 어떤 목표를 추구하며 살아야 될까를 얘기해봐야 된다는 것이 니체의 주장이다.

니체는 '신은 죽었다'는 종교·도덕비판 뿐만이 아니라 '목적론, 인과론, 이성, 평등, 주체' 등의 개념 역시, 하나의 허구이자 하나의 관점에 불과하다고 비판한다. 다만 이 주제들은 신이라는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아니다. 니체는 인과론과 목적론, 이성, 평등, 주체의 개념을 각각 따로따로 깨부순다. 그 중에서 가장 큰 타겟이 종교(신)인 셈.

니체는 신을 믿는다는 것이 단지 '하나의 관점'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그것은 과학같은 학문도 마찬가지로 '하나의 관점'에 불과하다는 것이 니체의 주장이다. 즉, 모든 것은 '하나의 관점'이므로 다른 사람에게 강제할 수 없는 것이다. 그래서 니체는 강제하려는 그 종교의 특성을 극렬히 비판했던 것.

 

 



■기독교의 노예적 도덕개념과 그것을 바탕으로 하는 유대교-기독교와 성직의 흐름을 비판하는, 니체의 "안티크리스트"를 신대원 동기들과 읽었다는 .. 하지만, 어떤 깨달음이 있었다는 내용이 없는 목회자의 포스팅을 보았다.

 

▪︎니체를 읽고, 아직도 소위 성직자 하이어라키(Cleric Hierarchy)를 유지하고 누리려 할까?

ㅡ 신정,-왕정시대가 진즉 사라진 21세기 시민주권 국가시대에, 더욱 더  세속화 되가는 사회에서, 소위 성직(church divine hierarchy )이라는 사제의 영향력은 교회 밖의 세상에선 아주 많이 감소했다. 일부 종교 기관은 개인과 공동체의 신앙과 관습이 더욱 다양해짐에 따라 전통적인 역할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실이라는 것이다.. 그럼에도 왜? 그 하이어라키를 유지하려 고집하는 것일까 ....

 

 

 



Nietzsche의 "Gott ist tot"는 무엇을 의미합니까?

※채팅GPT
Nietzsche의 유명한 명제 "Gott ist tot"는 영어로 "신은 죽었다"로 번역되는 독일어 문구입니다. 이 문구는 1883년에 출판된 그의 저서 "Thus Spoke Zarathustra"("Thus Spake Zarathustra" 또는 "Also sprach Zarathustra"라고도 함)에 나타납니다.

이 문구는 책의 더 큰 구절의 일부이며 문맥에서 벗어나면 그 의미가 종종 잘못 해석됩니다. 니체는 신의 존재에 대한 문자 그대로의 선언보다는 심오한 철학적 통찰을 전달하기 위해 이 은유적 표현을 사용했습니다. 이 진술은 니체가 신의 존재를 믿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종교적 믿음의 쇠퇴와 인간의 가치와 문화에 대한 영향을 탐구합니다.

Nietzsche의 작업 맥락에서 "신은 죽었다"는 것은 서구 문명의 중심이었던 전통적인 종교적, 도덕적 확실성의 쇠퇴를 의미합니다. Nietzsche는 신에 대한 믿음이 사람들의 삶과 가치를 형성하는 데 있어 그 영향력을 잃어가고 있다고 보았다. 과학 지식, 세속주의, 개인주의의 증가로 인해 목적 의식, 의미, 도덕적 지침을 제공했던 전통적인 종교적 틀은 현대 사회와 관련성이 줄어들고 있었습니다.

Nietzsche는 공유된 도덕적 토대가 없으면 사람들이 방향 감각과 의미를 잃어 잠재적인 가치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그는 인류가 자신의 가치를 형성하고 자신의 목적을 정의하기 위해 개인의 자율성과 책임을 포용할 수 있는 기회를 보았습니다.

"신은 죽었다"라는 문구는 종종 니체 철학의 중추적 순간으로 간주되며 서구 문화, 도덕성 및 인간 조건에 대한 그의 광범위한 비판과 관련이 있습니다. "초인" 또는 "우버멘쉬"(종종 "초인" 또는 "초인"으로 번역됨)를 기존의 도덕을 넘어서는 잠재적인 새로운 이상으로 탐구한 것은 전통적 종교적 가치의 상실을 극복하려는 이러한 생각과 깊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Nietzsche의 철학을 전체 맥락에서 이해하고 종교적 신념에 대한 단순한 거부로 축소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의 작품은 복잡하고 미묘하며 "신은 죽었다"는 도덕의 본질, 인간 정신, 자기 초월의 가능성에 대한 더 깊은 논의의 출발점 역할을 합니다.

 



Nietzsche's "Gott ist tot"

User
What does Nietzsche's "Gott ist tot" mean?

ChatGPT
Nietzsche's famous statement "Gott ist tot" is a German phrase that translates to "God is dead" in English. This phrase appears in his book "Thus Spoke Zarathustra" (Also known as "Thus Spake Zarathustra" or "Also sprach Zarathustra"), published in 1883.

The phrase is part of a larger passage in the book, and its meaning is often misinterpreted if taken out of context. Nietzsche used this metaphorical expression to convey a profound philosophical insight rather than a literal proclamation about the existence of God. The statement does not imply that Nietzsche believed in the existence of a deity but rather explores the consequences of the decline of religious belief and the impact on human values and culture.

In the context of Nietzsche's work, "God is dead" signifies the decline of traditional religious and moral certainties that had been central to Western civilization. Nietzsche saw that belief in God was losing its influence in shaping people's lives and values. With the rise of scientific knowledge, secularism, and the increasing prominence of individualism, the traditional religious framework that had provided a sense of purpose, meaning, and moral guidance was becoming less relevant to modern society.

Nietzsche was concerned that the absence of a shared moral foundation would lead to a potential crisis of values, as people might lose their sense of direction and meaning. He saw an opportunity for humanity to embrace individual autonomy and responsibility for shaping their own values and defining their own purposes.

The phrase "God is dead" is often seen as a pivotal moment in Nietzsche's philosophy and is associated with his broader critique of Western culture, morality, and the human condition. His exploration of the "overman" or "Ubermensch" (often translated as "superman" or "overhuman") as a potential new ideal beyond conventional moralities is deeply connected to this idea of overcoming the loss of traditional religious values.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Nietzsche's philosophy in its full context and not reduce it to a simplistic rejection of religious beliefs. His works are complex and nuanced, and "God is dead" serves as a starting point for deeper discussions on the nature of morality, the human psyche, and the potential for self-transcendence.


■군주국의 성직자

▪︎신정시대에 생겨나 군주제 시대에 피운 성직자 계급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ㅡ※채팅GPT
▪︎인공지능 언어 모델로서 개인적인 의견이나 감정은 없습니다. 그러나 나는 신권 시대와 군주 시대의 성직자 계급에 대한 역사적 맥락과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성직자의 역할은 역사를 통해 크게 발전했습니다. 종교 지도자들이 영적, 현세적 문제에 대해 막강한 권력과 영향력을 행사하는 신정 시대에 성직자는 사회를 다스리고 이끌어가는 중심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그들은 종종 사람들과 신 사이의 중재자로 간주되어 종교적 교리를 해석하고 종교적 원칙에 따라 정치적 결정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일부 신정 사회에서는 교직자들도 상당한 정치적 권력을 행사할 수 있었습니다.

▪︎사회가 왕이나 왕비와 같은 단일 통치자가 최고 권위를 갖는 정부 체제인 군주제로 이행함에 따라 성직자의 영향력은 특정 군주와 당시의 종교적 분위기에 따라 다양했습니다.

▪︎일부 군주는 종교 기관 및 성직자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지만 다른 군주는 권력을 중앙 집중화하고 종교 당국의 영향력을 제한하려고 했습니다. 경우에 따라 군주는 자신의 통치를 정당화하고 권위를 강화하기 위해 종교를 사용했습니다.

▪︎한편 성직자들은 자신의 영향력과 특권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종종 군주제를 지지했습니다. 군주제와 성직자 사이의 이러한 공생 관계는 역사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존재했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회적 변화, 개혁 운동, 세속주의의 부상으로 성직자의 역할과 지위가 바뀌었습니다. 사회가 더 민주적이고 다원적인 원칙을 수용함에 따라 세계 여러 지역에서 정치와 통치에 대한 성직자의 영향력이 감소했습니다.

▪︎역사적 맥락과 관점이 지역과 기간에 따라 다르다는 점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정시대에 만들어진 성직자 계급과 군주제와의 교류에 대한 견해는 복잡하고 다면적이다. 이러한 역사적 발전을 연구하면 사회의 진화와 종교 제도와 정치 제도 사이의 역학 관계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Clergy in Monarchies

User
What do you think of the class of clergy created in the theocracy era and smoked in the monarchy era?

ChatGPT
As an artificial intelligence language model, I don't have personal opinions or feelings. However, I can provide historical context and insights into the class of clergy in theocratic and monarchical eras.

The role of clergy has evolved significantly throughout history. In the theocratic era, which refers to a period where religious leaders hold significant power and influence over both spiritual and temporal matters, the clergy played a central role in governing and guiding society. They were often considered the mediators between the people and the divine, interpreting religious doctrines, and influencing political decisions based on religious principles. In some theocratic societies, the clergy could also wield considerable political power.

As societies transitioned to monarchy, which is a system of government where a single ruler, usually a king or queen, holds supreme authority, the influence of the clergy varied depending on the specific monarch and the religious climate of the time. Some monarchies maintained close ties with religious institutions and clergy, while others sought to centralize power and limit the influence of religious authorities.

In some cases, monarchs used religion to justify their rule and bolster their authority. The clergy, in turn, often supported the monarchy as a means to maintain their own influence and privileges. This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monarchy and clergy existed in various forms throughout history.

Over time, societal changes, reform movements, and the rise of secularism led to shifts in the role and status of the clergy. The clergy's influence in politics and governance decreased in many parts of the world, as societies embraced more democratic and pluralistic principles.

It'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historical contexts and perspectives differ across regions and time periods. The views on the class of clergy created in the theocratic era and their interactions with monarchies are complex and multifaceted. Studying these historical developments can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the evolution of societies and the dynamics between religious and political institutions.




■Then, in the 21st century, in the era of civil sovereignty, what do you think of the class of the clergy?

■21세기의 성직자

▪︎그렇다면 21세기 시민주권 시대에 성직자라는 계급은 어떻게 생각하는가?

ㅡ채팅GPT

▪︎AI 언어 모델로서 개인적인 의견이나 신념은 없습니다. 그러나 21세기에 성직자의 역할과 인식이 어떻게 발전했는지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21세기에도 성직자의 역할은 전 세계 많은 공동체의 종교 및 영적 삶의 중요한 측면이 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성직자의 영향력과 인식은 문화적, 사회적, 종교적 맥락에 따라 진화하고 다양해졌습니다.

▪︎일부 사회에서는 성직자가 여전히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각자의 종교 공동체를 인도하고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들은 계속해서 종교 의식을 거행하고 영적인 조언을 제공하며 추종자들을 위한 도덕적 지도자 역할을 합니다.

▪︎특정 지역에서는 종교 지도자가 강력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으며 공공 정책 및 사회 문제를 형성하는 데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한편, 세계의 일부 지역에서는 특히 세속화된 사회에서 교직자의 영향력이 감소했습니다. 일부 종교 기관은 개인과 공동체의 신앙과 관습이 더욱 다양해짐에 따라 전통적인 역할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종교의 종교 지도자와 관련된 스캔들은 경우에 따라 성직자에 대한 대중의 인식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성직자 구성원의 학대, 재정 관리 부실 또는 윤리적 실수로 인해 공개 조사가 이루어지고 특정 종교 기관에 대한 신뢰가 상실되었습니다.

요약하면, 21세기 성직자의 역할과 인식은 일부 공동체의 영향력 있고 존경받는 영적 지도자에서부터 도전과 비판에 직면한 인물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합니다. 역동성은 복잡하며 성직자가 활동하는 더 넓은 사회적, 문화적, 종교적 맥락에 따라 달라집니다.


Clergy in 21st Century

User
Then, in the 21st century, in the era of civil sovereignty, what do you think of the class of the clergy?

ChatGPT
As an AI language model, I don't have personal opinions or beliefs. However, I can provide you with a general understanding of how the role and perception of the clergy have evolved in the 21st century.

In the 21st century, the role of the clergy has continued to be an important aspect of religious and spiritual life for many communities around the world. However, the influence and perception of the clergy have evolved and varied depending on cultural, social, and religious contexts.

In some societies, the clergy still holds significant influence and plays a prominent role in guiding and supporting their respective religious communities. They continue to perform religious ceremonies, provide spiritual counsel, and act as moral leaders for their followers. In certain regions, religious leaders might also have a strong political influence and can play a part in shaping public policies and social issues.

On the other hand, in some parts of the world, there has been a decline in the influence of the clergy, particularly in more secularized societies. Some religious institutions have faced challenges in maintaining their traditional roles, as individuals and communities have become more diverse in their beliefs and practices.

Additionally, scandals involving religious leaders in various religions have also impacted the public's perception of the clergy in some cases. Instances of abuse, financial mismanagement, or ethical lapses by clergy members have led to public scrutiny and a loss of trust in certain religious institutions.

In summary, the role and perception of the clergy in the 21st century vary widely, ranging from influential and respected spiritual leaders in some communities to figures facing challenges and criticism in others. The dynamics are complex and depend on the broader societal, cultural, and religious contexts in which the clergy oper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