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나린푸실 이야기/신학 이야기 121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 (Friedrich Daniel Ernst Schleiermacher, 1768~1834)

■슐라이어마허 (Friedrich Daniel Ernst Schleiermacher) ㅡ 독일의 루터교 목사이자, 베를린대학교 신학교수를 역임한 신학자이며, 철학자이다. ▪︎출생: 1768년 11월 21일, 폴란드 브로츠와프 ▪︎사망: 1834년 2월 12일, 독일 베를린 ▪︎학력: 할레 비텐베르크 마르틴 루터 대학교 ▪︎임마누엘 칸트, 플라톤, 프리드리히 빌헬름 요제프 셸링 등에게 영향을 받았고, ▪︎빌헬름 딜타이,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루돌프 불트만, 폴 틸리히 등에게 영향을 끼쳤다. 1. 슐라이어마허는 교부신학의 전통을 계승하면서 프로테스탄트 신학을 집대성한 근대 신학의 아버지이자, 초기관념론과 초기낭만주의 철학을 주도한 사상가이다. 2. 고전문헌학자로서 플라톤 전집을 독일어로 옮겼으며, 독일 문화..

일신교(一神敎 · Monotheism) = 다신교(多神敎, polytheism)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로 시작되어 그리이스-로마 신화에 바탕을 둔, 서구사상(西歐思想)은 유대주의와 결부되어 있다. 신들(多神gods, Avata)들과 악(惡: Devil, Demon)의 존재들은 .... 유대주의에 의해 그 아바타들의 기능을 한데로 묶은 善(神GOD)의 일신교(一神敎 · Monotheism,توحيد)로 정리가 된다. 말하자면 일신교(一神敎 · Monotheism)를 여러 기능(Avata)으로 나눈것이 다신교(多神敎, polytheism)가 되고, 그 여러기능을 하나가 지니게 되면 일신교(一神敎 · Monotheism)가 되는 것이고, 마찬가지로 악(惡)들도 하나가 되어 하나의 악마(Satan)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유일신, #사탄 ■신과 인간의 관계로 영웅이 태어난다 = 테세우스..

(서평) 신학이 변해야 교회가 산다.

신학이 변해야 교회가 그리고 사회가 산다. 주석과 해석이, 시대적 요구에 따른 시대적 방편이 되어야 한다. ”교회를 포기 하지마라!”, 교회가 교회답게 만드는 방법에 모든 것을 걸어야 한다.”며 1960년대부터 보수 과정신학자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던, 필립 클래이튼(Philip Clayton)이 2009년도에 펴낸 Transforming Christian Theology(한글번역 : 신학이 변해야 교회가 산다)중심으로 필자의 생각과 함께 본문 말미에 싣는다. 신정시대(Theocracy) 혹은 왕정시대(Monarchy)의 신학관(神學觀), 거기에서 나온 주석과 해석을 21세기 오늘날의 시민주권국가 시대에 답습하는 것이 새로운 신학의 시대적 요구를 저해하는 가장 큰 장벽이라고 필자는 생각했다. 그렇다고 ..

(서평) 누가복음-사도행전

누가복음-사도행전 개론(Book Review : 제임스강)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Luke –Acts (번역: 왕인성 부산장신대 교수) 1. 저자 : 조지 쉴링턴 (V. George shillinton) = 침례교인으로, 캐나다 메노나이트 대학 ( Canadian Mennonite University) 성경신학 교수로, “예수의 비유담론에 대한 오늘날의 해석(Jesus and his Parables: Interpreting the Parable of Jesus Today)”과 “기독교가 탄생되기 이전에 예수와 바울의 세계관과 사역에 대한 회고(Jesus and Paul before Christianity: The World and Work in Retrospect)”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