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성서를 진지하게, 그러나 문자적이 아닌........ 39

바울의 예수, 플라톤의 소크라테스

■은, 유앙겔리온으로 부터 출발한다. 1. *마가 => 평화의 하나님 나라의 삶의 복음 (=♧His Peace), *바울 => 십자가와 부활의 죽음의 복음 (=☆the Gospel of God) ... (1)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개념도 있으나, 복음의 출발도, 쓰여진 내용의 구성도, 다르다. 로마 황제주의적 헬라적 사유에서 바울은 크게 벗어나 있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 (2) " 이렇게 우리는 믿음으로 말미암아 하나님과 올바른 관계를 가졌으므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하나님과 평화를 누리게 되었습니다."(롬5:1) . - "Therefore, having been justified by faith, we have peace with God through our Lord Jesus Ch..

■헬라신화의 세계관(Greek-Hellenistic mythological worldview)에 빠져 헤메는, 서구 기독교(Western Christianity) ....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들의 세계관, 가치관 "과학적인 세계상안에서 과학적 사고를 할 수 있는 시대를 살고 있는 사람들은, 신화로 가득찬 세상에 살던 과거의 사람하고는 전혀 다르다" 는 점을 들어... '불트만'(Rudolf Karl Bultmann, 1884 ~1976, 루터교 신학자)은 탈신화화(demyth ologization)로 강조한다. (올림푸스의 인격神들) "그리스도교가 '신화덩어리'의 헬레니즘을 수용해, '헬라화'(Hellen isierung, Greek-Hellenization) 되었다는 '아돌프 하르낙' (Adolf von Harnack,1851- 1930)의 주장을 둘러싼 논의가 대두되는 시점에서, '루돌프 불트만' (Rudolf Bultmann 1884-1976)은 ‘탈신화화’(脫..

촛불의 분노나 ..., 예수의 분노나 ....

■2000년전, 갈릴리 동포들의 비참한 삶 ... 그 분노에 일어선 예수나, ■2000년후, 21세기 무지무능의 더러운 정권에 맞서 싸우는 대한민국의 촛불운동이나, ■인간의 존엄성 .. 그 맥락은 같다. ■거창한 세계 동포주의(Cosmopolitanism)의 애민정신이 아니라, '갈릴리 동포 (Oikos)의 마음의 평화를 이루는 길이, 예수의 길'이었다. ■로마제국, 헤롯왕국, 헤롯성전의 종교권력의 수탈과 그들에 기생해 착취하는 자들로 인한, 이중고(二重苦), 삼중고(三重苦)로 일용할 양식을 구하는 것이 하루 하루의 삶이었던 동포들의 비참한 삶에, 예수는 분노했고 그것이 그를 갈릴리 현장으로 나서게 했다. ■그의 심령평화 운동은, '기, 승, 전' 갈릴리였고 '결'인, 예루살렘에서 그의 분노가 터져버린다..

회개하라구요?

■"때가 찼다. 하나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다. 회개하여라. 복음을 믿어라" (막1:15) = 평화가 여러분의 안과 밖에 있습니다. 지금 이 시간입니다. 구습(old customs)을 버리고, 새로운 의식의, 나, 예수 가르침을 따르십시요. ▪︎회개(metanoia: 탈바쿰)하라. = *살불살조(殺佛殺祖) = 사탄아 물러가라 = 마치 갈릴리 바다위를 걸어가는 용기를 내라. ▪︎Jesus came to us to show his Peace, not to show the kingdom of God, moreover not to die for us. ■*살불살조(殺佛殺祖) = 바른 견해를 얻고자 한다면, 결코 어떤것에든 미혹(delusion) 당하지 말아야 한다. 부처(god, deity), 조사(祖師 : 교주..

■하나님 놀이

■하나님 놀이를 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하나님 놀이는, 특히 생명의 창조나 종말에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결정을 내릴 권리가 있는 것처럼 행동하며, 다른 사람들의 삶에 매우 강력하고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결정을 알고 있는 듯한 논리를 만들어 집단적 체제의 하이라키를 체계화 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하나님 놀이를 한다는 것은 은유적으로 신에게서 유보된 결정, 개입 또는 통제의 권한을 지닌듯한 말과 행동으로 집단화 체계화 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나님 놀이로 묘사되는 행위중에는, 모든 사람이 구원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 누가 살고 죽을지 결정되기도 하고 그것과 더불어 큰 권위와 권력을 행사하려고 하는 사람들이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의 삶이나 운명에 대해 결정을 내리기 위해 자신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