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성서를 진지하게, 그러나 문자적이 아닌........

■하나님 놀이

Narin Pusil 2022. 7. 8. 09:17

ㅡ인간으로 부터 존재화된, 신(神,God)에게서 복제되어 생겨났나는, 존재 ....

 

 

 

하나님 놀이를 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ㅡ김일성 아바이 동무(아바 아부지)를 경배한다.


▪︎하나님 놀이는, 특히 생명의 창조나 종말에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결정을 내릴 권리가 있는 것처럼 행동하며,

 다른 사람들의 삶에 매우 강력하고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결정을 알고 있는 듯한 논리를 만들어

 집단적 체제의 하이라키를 체계화 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하나님 놀이를 한다는 것은

 은유적으로 신에게서 유보된 결정, 개입 또는 통제의 권한을 지닌듯한

 말과 행동으로 집단화 체계화 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나님 놀이로 묘사되는 행위중에는,

 모든 사람이 구원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 누가 살고 죽을지 결정되기도 하고

 그것과 더불어 큰 권위와 권력을 행사하려고 하는 사람들이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의 삶이나 운명에 대해 결정을 내리기 위해

 자신의 힘(?)을 사용하는 사람, 즉 이런 하나님 놀이의 shaman 역할 담당들이 나타납니다.

 



▪︎*신학자 폴 램지 (Paul Ramsey)는,

    "인간은 인간이 되는 법을 배우기 전에는 하나님 놀이를 해서는 안 되며,

     인간이 되는 법을 배운 후에는 하나님 놀이를 하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말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이 구절에 대한 접근의 종교적 틀은, 인간에 대한 계획이 있는 종교의 신을 말하며,

  따라서 인간의 오만은 신성한 생명이나 자연과 관련된 기술의 오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폴 램지 리차드 니버가 그의 지도교수였고 프린스턴의 종신교수였던 기독교윤리학자.

▪︎소위 기독교정통이나, 비정통의 변형이나 ..

 전승되는 신화를 바탕에 둔, 작가적상상력의 Story tale을,

 기천년을 지배하는 Shaman적인 "하나님 놀이"의 테마로 삼아,

 그 자체를 논리화, 하이라키화 시켜, 그것을 믿게하는 발상은 동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