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분류 전체보기 686

■그리스도의 교리가 희랍의 철학사상과 결부되어 있다. ■신앙은 사실에 오지 않고, (시대 시대마다의 사회적) 가치 판단에서 비롯된 것.

■하르낙(Adolf von Harnack,1851~1930) ▪︎일반적으로 하르낙은, 루터신학자 아버지밑에서 출발한 독일의 개신교회 교회사가, 자유주의 신학자이다. ▪︎그는 하나님 나라에 대한 예수의 가르침의 핵심이 바로 각 사람의 마음속에 있는 거룩하신 하나님의 통치라고 했다. ▪︎러시아의 도르파트에서 출생. 1876년에 라이프지히대학의 교회사 교수가 되었다. ▪︎또한 1879-86년 기센대학, 1886-89년 마르부르그대학, 1889-1921년 베를린대학 등에서 교수로 활약하였다. 1900년에는 프러시아 과학원의 회원이 되었고, 1902-12년에는 복음적 사회협회 회장에, 1905-21년에는 국립도서관 관장으로, 또 1910년에는 카이저 빌헤름 학술장려협회 총재로 봉직했다.▪︎그는 19세기말부터 20..

역사적 정황과 부활, 메시야, 복음 그리고 예수

■구습(SATAN)적 사고에만 머물러 있을 수 없었던, 그리고 깨우침에 있어 뛰어났던, 더구나 유대인이 아닌 갈릴리 사람이었던, 예수 .. 그는 당시 유대주의 강박에서 벗어나, 사방의 지평이 보이는 갈릴리 바다위를 걸어 갈 수 있었다. 그리하여 당시 유대주의 개혁에 관심이 있었던 그는, 그의 갈릴리 동포에게 그가 가진 사회관과 가치관을 그의 갈릴리 동포들에게 전하며 구습에 끄달려 있던 유대교에 적용하고 있었다. ▶ 예수가 말하는 구원은, 당시 역사적 정황들 .. 그중 갈릴리 동포들의 하루 전부였던, "일용할 양식"(↔ 그것은 '주기도문'이 나오게 된 원인이기도 하다), 그에 대한 근심 없는 생활, 즉 먹는 것을 걱정해야 하는 빈곤으로 부터의 해방되는, 말하자면 현대신학의 출발자인 리츨(Albrecht R..

꼬마야

꼬마야 꽃신 신고 강가에나 나가보렴 오늘 밤엔 민들레(가) 달빛(에) 춤출 텐데 너는 들리니 바람에 묻어오는 고향빛 노래 소리 그건 아마도 불빛처럼 예쁜 마음일 거야 꼬마야 너는 아니 보랏빛(의 무지개를 너의 마음 달려와서 그 빛에 입맞추렴 비가 온 날엔 밤빛도 퇴색되어 마음도 울적한데 그건 아마도 산길처럼 굽은 발길일 거야 https://youtu.be/v1SvFlpgSmQ?si=aSxB8_OiAGBisqg-

▩ 처녀 생식 - 단성 생식 - 동정녀, 그리고 예수동생들 .....

▪︎한국을 포함한, 세계 여러나라와 민족들에서 회자되는 기적적인 탄생은 (고대 왕권주의에서 나오는) 신화, 종교, 전설적인 이야기와 전통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주제입니다. ▪︎여기에는 종종 신의 개입, 초자연적 요소, 천문학적 징후, 고난 또는 일부 신화의 경우 창조와 관련된 복잡한 음모와 같은 기적적인 상황과 특징에 의한 개념이 포함됩니다. ▪︎한국은 물론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아나톨리아 등지에도 나오는 동정녀 탄생(Virgin Birth) .. 예수 그리스도가 친아버지가 없으나 성령의 능력으로 마리아에 의해 잉태되었다는 전통 기독교 교리이기도 하다. ▪︎그것은, 마리아가 예수의 유일한 친부모라는 말인데, 그 교리는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에 나오는 예수 유아기때 신화적인 이야기에 근거합니다. ▪︎우리가..

수학, 중력 그리고 종교

■수학 (Math) ㅡ 수, 양, 구조, 공간, 변화 등의 개념을 다루는 학문이다. 널리 받아들여지는 명확한 정의는 없으나 현대 수학은 일반적으로 엄밀한 논리에 근거하여 추상적 대상을 탐구하며, 이는 규칙의 발견과 문제의 제시 및 해결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위키백과) ■천동설, 지동설 지구 중심설(천동설), 죽음을 부르던 그 카톨릭 교회교리가 무너졌는데 .. 카톨릭과 그 갈래 개신 지구가 우주의 중심에 있다고 보는 지구 중심설(천동설)은 기원전 4세기 고대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등에 의해서 주장되었고, 2세기 무렵 프톨레마이오스(Ptolemǽus)에 의해 정교한 james-kang-2019.tistory.com ▪︎ “실제로 그것들이 무엇인지 상상하기는 쉽지 않다. 그것들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