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나린푸실 이야기/철학 이야기

■"세상에서 변하지 않는것은 없다." ㅡ 헤라클레이토스, 싯탈타, 노자, 브르너, 에벨링, 틸리히

Narin Pusil 2022. 10. 23. 09:18

 


대략 BC 1300년전, 제정일치 시대의 모세(Moses)냐?  

   아니면,  21세기 시민주권국가 시대의 고라(Korah)냐?

Numbers(민수기), chepter16

▪ <민수기 16장>을 오늘날에 적용한다면, <모세>와 <고라> (아비람)중에 누구의 말이 오늘날 <지금 이 시대>에 맞다고 보십니까?   (If you apply Numbers 16 to this day, which of 'Moses' and 'Korah' is true today?)

  ▪ <출애굽 당시>에는 <모세의 사고>가 맞을 것이 였섰겠지만 .. 루터이후 특히 <오늘날>에는 <고라(아비람)'의 생각>이 맞지 않을까요.... 어찌 보시겠는지요.... (... At the time of the Exodus, Moses' thinking would be right, but after Luther, especially at this moment today, 'Gora'& Abiram is right. Isn't it? How do you feel it...)
.

 


▪︎헤라클레이토스(Panta Rhei), ▪︎싯탈타(無常무상), ▪︎노자(道可道 非常道도가도비상도)    

        ㅡ "세상에서 변하지 않는것은 없다"

 


https://m.cafe.daum.net/bgtopia/NkwY/728?svc=cafeapp

 

■도가도비상도(道可道非常道) = 무상(無常)

■도가도비상도(道可道非常道)=길옳다길,늘(같은)길이아니오(유영모)도(道)라고해도항상같은상황의도(道)가아닌것이다. 무상(無常:free-mutability)상(常:ever-homeostasis)고(苦:suffering)※노자(老子),싯

m.cafe.daum.net

 


 


■ 신학의 역할

 

1. 통전적 / 통시성 : 성서 말씀이 오늘 이시대에 구체적인 문제들과 상황들에 대해

         무엇을 말하고자 하며, 무슨 의미를 가지는가를 현실에 맞게 해석하여 해명한다.

2. "인간의 하나님에 대한 이해는, 불변하는 교리와 도그마에  의해 정의 될 수 없다.

     신학(theology)은 인간의 활동의 문화적 행위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신학은 상상적이고 상징적 이며 창조적 본성을 갖는 작업이다."

    1) 브루너 (1899-1966)

ㅡ " 신학은 그 시대의 언어로 번역해야 하고,

      그 시대의 정신과 이데올로기와 함께 비판적으로 대화해야할 과제이다."
       (Emil Brunner 1972,  96이하)

    2) 에벨링(1912-2001)

ㅡ" 신학은 과거에 있던 것(so war es)을 반복하여 말하지 말고,

     현재에 그것 이 무엇을 말하는가(so ist es)를 말해야 한다."
       (Gehard Ebeling 1967,  454).

    3) 틸리히(1886-1965)

ㅡ"상황속에 포함되어 있는 문제들과 메세지속에 함축된 대답을 서로 관련시켜야 한다.

    그래야 문제와 대답, 상황과 메세지, 인간의 실존과 하나님의 자기계시를 서로 연계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Paul Tillich,  65,15)
.

 

■도가도비상도(道可道非常道) = 무상(無常)

■도가도비상도(道可道非常道)=길옳다길,늘(같은)길이아니오(유영모)도(道)라고해도항상같은상황의도(道)가아닌것이다. 무상(無常:free-mutability)상(常:ever-homeostasis)고(苦:suffering)※노자(老子),싯

m.cafe.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