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the kingdom of God 5

■헬라신화의 세계관(Greek-Hellenistic mythological worldview)에 빠져 헤메는, 서구 기독교(Western Christianity) ....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들의 세계관, 가치관 "과학적인 세계상안에서 과학적 사고를 할 수 있는 시대를 살고 있는 사람들은, 신화로 가득찬 세상에 살던 과거의 사람하고는 전혀 다르다" 는 점을 들어... '불트만'(Rudolf Karl Bultmann, 1884 ~1976, 루터교 신학자)은 탈신화화(demyth ologization)로 강조한다. (올림푸스의 인격神들) "그리스도교가 '신화덩어리'의 헬레니즘을 수용해, '헬라화'(Hellen isierung, Greek-Hellenization) 되었다는 '아돌프 하르낙' (Adolf von Harnack,1851- 1930)의 주장을 둘러싼 논의가 대두되는 시점에서, '루돌프 불트만' (Rudolf Bultmann 1884-1976)은 ‘탈신화화’(脫..

하나님 왕국(나라), the kingdom of God

■ the kingdom of God,When the word began to be used, It was the monarchy.So it was likened & expressed God to the king. □ 하나님의 왕국,그 단어가 쓰이기 시작한 때가 바로 왕정시대였고, 그래서 신을 왕의 모습에 비유했던 것이다. "For behold, the kingdom of God is in your midst.(Luke17:21)" "잘 들으십시오, 하나님의 나라는 여러분들 마음과 여러분들 사이에 있다는 사실입니다." ■the Kingdom Of God?? It was one of inevitable symbolic expressions due to the limits of thought of the M..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 구요?? -2

관념(사유)과 실재(존재), 하늘로 부터와 땅으로 부터의 차이. 질문 → 사유가 존재를 규정(헤겔)하나, 존재가 사유를 규정(마르크스)하나? →사유든 존재든, 어떻게 개인의 사회성을 확보하나? 사회계층과 차별(권력과 자본 편중 등)은 필수적인가? →개인이나 단체(집단) 간에 사회적 연결고리로 사회계약이 최선인가? 계약이 오작동 하고, 약속이 지켜지지 않을 시 궁극에 격리가 최선인가? 힘의 속성상 법앞에 평등은 실현될 수 없는 환상이지 않은가? →개인이나 사회구성원을 관념론적 접근과 유물론적 접근시 어떠한 본질적 차이가 있는가? 다시말해 사유적 접근과 존재적 접근의 본질적 차이는 무엇인가? 비유하면 민주(자본)주의는 물질에 정신을, 사회(공산)주의는 정신에 물질을 씌운듯 보이지 않는가? 결국, 양쪽 다 노..

카테고리 없음 2021.03.27

5. 과정신학 -3. 특징

3. 과정신학의 특징 1. 본 회퍼는 그의 옥중서신에서 '하나님'은 점점 과학의 영역에서 뿐만 아니라 인간의 삶 일반에 있어서도 추방되고 근거를 잃어가고 있다고 진단한다. 이러한 세상에서 철저하게 무력하고 약한 하나님은 마치 하나님 없이 이 세상을 관리해야 겠다는 현대인의 자율의식과 맞물려 어떤 종류의 초월적 실재관도 거부하는 것이다. 이같은 세속화 신학은 전통적인 신정론(Theodicy)의 문제를 다룸에 있어 인간의 창조과정의 책임성 강조와 신의 세계적 초월 혹은 세상적 내재와는 구별된 초월과 내재의 창조자를 강조하는 점에서 과정신학의 수용을 준비했다. 또한 자연과학에서의 장(場)의 이론, 양자역학의 물리관, 에네르기의 상존설, 진화론 등은 ... 이전의 모든 실재관을 근본적으로 부정하고 뒤바뀌게 하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