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에라스무스 4

※종교학자가 종종 편협한 사람들임을 깨닫게 되었다. 그리고 종교개혁은 없었다.

■How were the debates with religious scholars important in the formation of Akbar's ideas on governance? ▪︎종교의 자유 : 종교에 관용을 베풀었던, 페니키아 해상왕국, 아테네 도시국가, 로마제국, 몽골제국, 이슬람제국 등과 같이, 종교적으로 중앙아시아계-이란계의 무슬림(이슬람교도), 토착 무슬림 및 힌두교도가 많은 로써 악바르(Akbar)는, 포르투갈인이 인도에 선교하던 크리스트교에 이르기까지, 여러 종교들에 대해 관심을 꾸준히 기울였다. ▪︎특히 신비주의에서 강한 영향을 받아 여러 종교를 총합적으로 존중한 '악바르'는 다양한 종교를 가진 사람들과 교류하면서, 자신들의 종교 의식과 교리를 강조하는 종교학자가 종종 편협한 ..

Encyridion(The essence and highlights of the Epictetus' vast book, Erasmus) : 인생수첩(하이라이트 - 엣센스 에픽테투스와 에라스무스)

1.. Epictetus Encyridion 엥케이리디온(Encyridion)은 영어로 'manual'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손으로 직접 쓴 것이라는 수고(手稿)에 해당된다. 원래 에픽테토스의 「담화록Discourses」으로부터 그의 제자 아리아노스가 직접 뽑아놓은 도덕적 규칙들과 철학적 원리들을 모은 요약본의 성격을 지니는 것이 바로 이 『엥케이리디온』이다. 에픽테토스는 스토아 학파의 학자로 절제와 엄격함으로 개인이 자유와 행복에 에르는 방법이 무엇인지를 가르치는데 치중했다. 헬레니즘 시대에 도덕에 대해 쓴 아주 짤막한 것으로, 하나의 도덕 교본으로 볼 수 있는 책이다. 에픽테토스의 제자인 아리안은 그의 강의를 요약하여 Enchiridion이란 책에 남겼다. ‘엔키리디온’이란 그리스어는 ‘손에 들..

8. Erasmus & Luther(에라스무스와 루터)

에라스무스에 대한, 루터의 불손(不遜)한 말씨(言辭). 에라스므스나 마틴 루터 공히 교회를 개혁하고자 했다. 그러나 그들이 원하는 개혁에 있어 적용되어야 할 시대적 세계관에 따른 방법론에 서로의 생각의 차이가 있었다. 16세기 로만카톨릭에 대한 교회개혁에 있어 로테르담의 에라스므스와 비텐베르크의 마틴 루터, 그들의 자세와 역할을 대조하여 비교해 본다. ※ 단락마다, 제임스강의 에세이Essey에 대한 Lecturer의 질(문)과 제임스강의 (답)변이 있다. 1. 에라스무스의 저서들을 연구하던 루터는, 95개조 반박문을 발표할 당시에 에라스무스의 지지를 얻기 위해 직접 편지들을 여러번 보냈다. 그러나 그 편지들에 담긴 루터의 생각에 대해 에라스무스는, 휴머니즘 그 자체와 그에 따른 학문의 부흥 그리고 그가 ..

2. 종교의 광기와 맞서 싸운 인문주의자, 에라스무스 -1

이런 시기에 태어나 역사에 한획을 그었던 인물중 빼어난 인문학자가 있었다. 그가 바로 에라스무스(Desiderius Erasmus, 1469(6)~1536. 7. 12, 스위스 바젤에서 사망)이다. . 1. 그는 1469년 10월 27일에 네덜란드 항구도시 로테르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게리트 (Roger Gerard)는 ‘하우다’의 사제였으며, 어머니는 제벤버겐'의 의사의 딸 마하레타(Margaret)였다. 에라스무스라고 하는 그의 세례명은 그의 아버지의 이름인 게리트가 ‘사랑받는자’라는 뜻으로 이를 희랍어로 표현하면 ‘에라스무스’가 되고 라틴어로 표현하면 ‘데시데리우스’가 된다. 2. 베네룩스-삼국이 통합될때까지 아직 도시국가들로 구성되었던, 하지만 항구의 발달로 여러문화를 접할 수 있었던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