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2. 예수의 분노(憤怒), 핏줄 이기주의

8. 예수가 분노했던, 예루살렘의 헤롯성전이 무너지다 - 3

Narin Pusil 2020. 10. 16. 22:01

►►► 현대 유대교 핏줄 이기주의

 

에페수스의 아르테미스신전 상상도. 401년 완전히 파괴되었다.

 

현재 유대종파중 80% 정도가 •1.아슈케나짐(=독일, 네델란드, 러시아 출신)이고, 나머지 대부분인 •2. 스파라딤(=스페인, 포르투칼 출신),  3.미즈라힘= (북아프리카, 중동 출신), 그리고 4. 베타이스라엘(=이디오피아 출신) 4대종파와예멘-인도2종파, 발칸반도에 소수종파가 하나가 있고, 하위 유대인 15 소수집단이 전세계에 산재하고 있다. 이들간에 서로 교류가 없고, 특히 2개의 대집단 이스라엘의 기득권층을 이루는 아슈케나지와 2신분인 스파라딤은, 서로 대적하고 있다.  현대의 유대인들간에도 분파이기주의가 저와 같을진데, 예수 공생애 당시는 크고 작은 전쟁속에서 착취와 수탈이 횡행하던때라 사회가 불안하므로 가진자들은, 가족끼리 배부르면 고만인 사회 분위기로 나타났었고, 따라서 티투스의 헤롯 성전의 파괴시 예루살렘 전역에 유대인들끼리 아이들을 잡아먹는 등의 목불인견의 아수라장 자체였었다고 요세프스는 전하고 있다.[19]  그곳에 휴먼 드라마는 없었다.

 

 

성전이 완성되자, 매년 페사흐가 돌아올 때마다 예루살렘은 성전을 순례하려는 사람들로 넘쳐났다. 이때마다 우익열심당원들은 로마의 점령에 저항해야 한다고 군중을 선동하고 폭동을 유발했다. 유대인들의 환심을 사고자 벌인 성전건축사업이 오히려 위태로운 사태를 몰고온 것이다. 폭동이 일어날 것에 대비하여 로마의 지배자들은 주로 그리스인들로 이뤄진 군대를 대폭 증강하여 성전 주변 방위를 강화했다. —358

 

유대인의 분파

 

흔히 사용하는 아슈케나짐 (Ashkenazim)과 스파라딤 (Sephardim)의 구분은 종교적 차이와 민족적 차이를 다 포함한다. 어떤 학자들은 아슈케나짐 유대인들은 팔레스틴이나 유대교 전통을 따른 이들의 후손이며 스파라딤 유대인들은 바빌로니아식 유대교 전통을 따른 이들의 후손이라 주장한다.

역사적으로 유다 민족의 4대 분파는 다음과 같다.

 

1. 아슈케나짐

 

독일과 네덜란드에서 살다가 동유럽으로 이주하였다. 일부는 네덜란드와 독일에 살고 있지만 인근의 폴란드, 체코, 슬로바키아, 헝가리, 라트비아, 러시아, 리투아니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몰도바, 루마니아,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슬로베니아에도 살고 있다.

 

2. 스파라딤

 

스페인과 포르투갈에 살았으나, 16세기에 이베리아 반도에서 추방된다. 스페인과 포르투갈 쪽에 소수만 남게 되고, 상당수는 프랑스, 터키, 북아프리카 등지로 이주했다.

 

3. 미즈라힘

 

중동과 북아프리카 지역에서 살다가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등지에도 퍼졌다. 이들은 스파라딤 유대인들과 종교 의례가 거의 같아 보통 스파라딤이라 부르기도 한다.

 

3. 베타 이스라엘

 

에티오피아에 살던 흑인 유대인으로 ‘팔라샤’ (Falasha)라고도 불린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소수 분파가 있다.

– 예멘 유대인 (Yemenite Jews)‘테이마님’ (Teimanim)이라고도 한다. 동방 유대인이었는데 지리적 · 사회적으로 다른 유대인 사회로부터 고립되어 특이한 예배식과 의례가 발전하였다.

 

– 베네 이스라엘인도의 뭄바이 (봄베이)에 살았다.

 

– 코친 유대인이들도 인도에 살았다.

 

– 로마니오트 (Romaniotes)헬레니즘 시대부터 현재까지 발칸 반도에서 살고 있는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유대인들이다. 전 세계에 6천 명 정도 있다.

 

 

아슈케나짐은 전통적으로 이디시어를, 스파라딤은 라디노어 (유다 포르투갈어)를 사용했다. 동방 유대인은 거의 대부분 아랍어를 사용했으나 아람어, 페르시아어 (파르시어)를 사용하는 이들도 있었다.

 

스페인의 종교재판 (Spanish Inquisition) 이후 스파라딤 유대인들은 흩어져 유럽에 이주, 아슈케나짐과 동화되거나 중동으로 이주, 동방 유대인들과 동화되었다.

 

오늘날 유대인의 80% 정도가 아슈케나짐이고 나머지는 대부분 범 스파라딤계이다.

 

유대인 하위 집단에는 ‘그루짐’ (Gruzim) 즉 카프카스 조지아 지방의 유대인, ‘유후림’ (Juhurim) 즉 코카서스 동부 다게스탄의 산악 유대인, ‘마크레빔’ (Maghrebim) 즉 북아프리카 유대인, ‘아바유다야’ (Abayudaya) 즉 우간다 유대인 등이 있다. 그밖에도 러시아의 러시아 유대인, 카자흐스탄, 아제르바이잔,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의 중앙아시아 유대인, 싱가포르, 필리핀, 중국, 일본의 아시아 유대인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