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나린푸실 이야기/역사(신화) 이야기

■'메디치 Medici' 가문 (Cosimo de' Medic, Lorenzo de' Medici)

Narin Pusil 2021. 9. 5. 23:30

https://youtu.be/XhxYpM25qw4?si=ob-Dsp-NvcgXFVdf

 

https://youtu.be/p0KQ7h6WV_Y

 

 

메디치 – 마스터즈 오브 플로렌스, 더 매그니피션트

메디치Medici는 이탈리아-영국 합작 드라마로 피렌체의 메디치 가문에 대한 역사 드라마이다. 피렌체 여행을 한 사람은 누구나 들어봤을 이름이 메디치 가문이다. 엄청 재미있는 드라마는 아니지

drchung.net

ㅡ코시모 데 메디치

 
코시모 1세 데 메디치(Cosimo I de' Medici, 1519년 6월 12일 ~ 1574년 4월 21일)는 2대 피렌체 공작이었다가 교황 비오 5세에 의해 1569년 초대 토스카나 대공이 되었다. 초대 피렌체 공작이었던 알레산드로가 1537년에 암살당하자 권력을 계승하였으며 메디치의 방계 가문 출신으로 기울어가던 메디치 가문을 다시 부흥시켰다. 
집권이래 권력을 완전히 장악하여 공화파들을 제압하고 피렌체에 귀족정을 뿌리내리게 하였다. 1557년에는 무력으로 시에나를 정복하는등 영토 확장에 성공하며 도시국가 수준의 피렌체를 토스카나 대공국으로 만들었다. 그의 집권 초기의 피렌체는 1530년에 있었던 피렌체 공성전의 여파로 정치는 혼탁했고 경제는 피폐하였으며 사회는 무질서 했다. 잔인하고 무자비한 독재자이기는 했으나 강력한 부국강병 정책을 통해 피렌체를 강대국으로 성장시켰다.
황제 카를 5세의 봉신임을 분명히 했으며 반-프랑스, 친-황제 정책을 일관되게 추진하여 황제의 신임을 얻었다. 이를 통해 당대에 이탈리아 반도의 지배적 세력이었던 합스부르크 가문의 영향력에서도 벗어나 피렌체의 독립성을 유지하였고 밀라노의 경우와는 달리 피렌체가 스페인의 속주가 되는 것을 막아냈다.
그의 외할머니인 루크레치아는 위대한 로렌초(1449~92)의 딸이자 메디치 출신 교황 레오 10세의 누나이다. 이런 가문의 혈통으로 인해 교황 레오 10세는 코시모의 대부가 되어 주었다. 프랑스 앙리 2세의 왕비인 카트린 드 메디시스는 코시모와 6촌 형제지간이다.
 
코시모는 레오노르 사이에서 11명의 자식을 두었다:

  • 마리아 (1540년 4월 3일 – 1557년 11월 19일) : 알폰소 디 에르콜레 2세와 약혼했으나, 혼인 이전에 사망
  • 프란체스코 1세 (1541년 3월 25일 – 1587년 10월 19일) : 부친을 이어 토스카나 대공에 오른다.
  • 이사벨라 (1542년 8월 31일 – 1576년 7월 16일) : 남편 파올로 조르다노 1세 오르시니에게 살해당함.
  • 조반니 (1543년 9월 28일 – 1562년 11월) : 피사 주교와 추기경이 됨
  • 루크레치아 (1545년 6월 7일 – 1561년 4월 21일) :1560년에 모데나와 페라라 공작 알폰소 2세 데스테와 혼인
  • 피에트로 (페드리코) (1546년 8월 10일 – 1547년 6월 10일) : 1살 때 사망
  • 가르치아 (1547년 7월 5일 – 1562년 12월 12일) : 15세 때 말라리아로 사망
  • 안토니오(Antonio, 1548년 7월 1일 – 1548년 7월) : 유아기에 사망
  • 페르디난도 1세 (1549년 7월 30일 – 1609년 2월 17일) : 추기경이었으나 형 프란체스코 1세가 후계없이 사망하자 토스카나의 대공에 즉위함.
  • 안나(Anna, 1553년 3월 19일 – 1553년 8월 6일) : 유아기에 사망
  • 피에트로 (1554년 6월 3일 – 1604년 4월 25일) : 부인 엘레오노라 디 가르치아 디 톨레도를 살해함.


코시모는 혼인을 하기 전에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여성 사이에서 사생녀 한 명을 두었다:

  • 비아 데 메디치 (1536년 추정 – 1542년 3월 1일)

1562년에 레오노르 사망 후, 코시모는 하녀 엘레오나라 델리 알브리치(Eleonora degli Albrizzi) 사이에서 2명의 자녀를 두었다:

  • 불명의 딸 (1566년 출생 및 사망) : 세례 전 사망
  • 조반니 (1567년 – 1621년) : 코시모에 의해 적출화 됨

1570년, 코시모는 카밀라 마르텔리 (1590년 사망)과 혼인하였고 자식 한 명을 두었다:

  • 비르지니아 (1568년 5월 29일 – 1615년 1월 15일) : 모데나 공작 체사레 데스테와 혼인

 

 

[이미혜의 그림으로 읽는 서양예술사] 메디치家의 명품 컬렉션…르네상스를 화폭에 담다 | 네이

최신뉴스>세계 뉴스: 1772년 여름 영국 국왕 조지 3세의 샬롯 왕비는 독일 태생의 영국 화가 요한 조파니(1733~1810)에게 이탈리아 피렌체에 있는 우피치미술관의 트리부나를 그려오라고 명했다. 트

news.nate.com

 
 
 
 

ㅡ로렌초 데 메디치

로렌초 데 메디치는 피렌체 공화국의 지배자이자 로렌초 가문의 수장. 일명 '대인 로렌초'(Lorenzo Il Magnifico, 로렌초 일 마니피코). 이탈리아의 정치가이자 피렌체 공화국의 사실상의 통치자로, 막강한 권력을 지녔고 르네상스의 열렬한 후원가였다. 동시대 피렌체인들에게는 로렌초 일 마니피코로도 알려진 그는 외교관이자 정치인이였으며 학문과 예술인들의 후원자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