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1. 출애굽 그리고 가나안 정착

4. 출애굽의 전단계 -1

Narin Pusil 2020. 4. 8. 19:21

■출애굽 전단계 -1

  "내 백성을 보내라."   (출애굽기 51절)  .. 라는 이스라엘 하나님이라는, 야훼의 분부가 토라(Tora)의 출애굽기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다.

 

 

ㅡ고센땅, 북부 지배자, 야곱족속 그리고 요셉족속

 

 

 

*야곱족속의 후손이 고센(애굽)의 북부에서 400여년이 지나 인구도 엄청나게 불었다.  

그러나 이들과 brothership이 있던 왕조(힉소스 파라오 15/16왕조)가,

상이집트에서 하이집트로 밀고 올라온 원-이집트(카모세 17왕조)에 의해 북쪽으로 밀리게 되었고,

새롭게 등장한 이집트 신왕조, 18왕조를 세운 아흐모세(1550 -1525, 카모세의 동생))에 의해

이집트 땅에서 완전히 축출되었고, 그때는 오래지 않아 히타이트에게 멸망당한,

인도아리안계의 미탄니 왕국이 아직 강대했기에, 16왕조 무리는 동쪽으로 향했고

그래서 이집트14왕조를 칩입하기전, 가나안으로 돌아갔다.

 

 

 

 

 

모세 이야기가 펼쳐지는 시기는 B.C. 1500년경의 고대 이집트다. 

위에 언급한대로 이민족으로 이집트 통치하던 힉소스(Hyksos) 왕조가 축출된 후 

고센이 있던 하이집트 마저 18왕조로 바뀌자, 하이집트 북쪽 고센땅의 요셉족속의 후손들은

하루 아침에 노예 하비루(비천한 자, 히브리)로 전락하게 되었고,

이때 왕궁에서 교육과 삶을 배우며 자라던 모세 역시 왕족의 무리에서 축출되었다.

 

모세의 조상은, 그때로부터 약 400년 전, 이집트와 가나안에 닥친 7년간의 대기근 때 

이집트 파라오 16왕조를 세운 힉소스(Hyksos) 일원으로 이집트를 칩입했던 야곱족속의 무리들이었다. 

야곱족속의 후손 고센 북부의 요셉이, 고센 남부 이집트-16왕조 왕궁에서 총리로 재임하던 시기였다. 

 

 

 

바이블 기록의 야곱족속의 연대

  야곱Jecob(BC 1791 ~ 1644) 창 30:24
  야곱 일가의 가나안 귀향 창31:17-20

 

→ 야곱이 90세에 요셉을 출생했고, 110세에 사망 (BC1701 - 1591)
그런데 Ahmed Osman은, 이 파라오가 투투모세 4세(Thutmose IV)라고 주장하고,
요셉(Joseph)을 이집트 인물 "Yuya"로 주장했습니다.
그는 Tiy(Amenhotep III의 아내)의 아버지이자 
Thuyu(둘 다 KV 46에 묻혀 있음)의 남편.
아마도 Akhmim 지역 출신의 군사 지도자였습니다.
 

wikipedia.org

https://en.wikipedia.org › wiki › Pharaohs_in_th
 
 
 

Jacob Moves to Egypt (Genesis 46-47)   

파라오 야곱은 누구였습니까?

Meruserre Yaqub-Har(다른 철자: Yakubher, Yak-Baal이라고도 함)는

기원전 17세기 또는 16세기 이집트의 파라오였습니다.

그는 이집트의 분열된 제2중간기에 통치했기 때문에

그의 통치 연대를 정확히 알기 어렵고 그가 속한 왕조조차 불확실하다.  

16왕조 파라오는 야곱과 가족에게 고센 땅(히브리어: אֶרֶץ גֹּשֶׁן, ʾEreṣ Gōšen)을 지배하게 했다.

wikipedia.org
https://en.wikipedia.org › wiki › Yaqub-Har

(GPT) 파라오 야곱(Meruserre Yaqub-Har)은 고대 이집트 제15왕조의 파라오로, 힉소스(Hyksos) 왕조에 속한 인물입니다. 힉소스는 기원전 약 1650년에서 1550년 사이에 이집트를 지배한 아시아계 이민자 집단으로, 그들은 주로 이집트 북부에 위치한 델타 지역을 통치했습니다.

주요 정보:

  1. 이름: Meruserre Yaqub-Har
  2. 왕조: 제15왕조 (힉소스 왕조)
  3. 통치 기간: 정확한 통치 기간은 불분명하지만, 기원전 17세기 후반에서 16세기 초반으로 추정됩니다.
  4. 출신: 힉소스는 서남아시아, 특히 레반트 지역에서 온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의 통치는 이집트 역사상 외국인의 첫 지배로 기록됩니다.
  5. 역사적 중요성: 야곱은 힉소스 왕조의 파라오로, 그의 통치는 힉소스의 이집트 지배 기간 중 하나였습니다. 그의 이름이 이집트 기록에서 발견되었으며, 이는 힉소스 왕조의 통치에 대한 중요한 증거 중 하나입니다.

힉소스의 영향:

힉소스는 이집트에 다양한 문물을 도입했으며, 이집트의 군사 기술, 특히 전차와 복합궁과 같은 무기들의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또한 힉소스의 지배는 이집트인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그들의 몰락 이후 이집트는 외부 세력에 대한 경계심을 더욱 강화하게 되었습니다.

야곱의 유산:

야곱의 통치에 대한 기록은 비교적 적지만, 그의 이름이 포함된 비문과 유물들은 힉소스 왕조의 이집트 통치에 대한 중요한 자료로 남아 있습니다. 그의 이름에서 '야곱'이라는 요소는 아브라함계 유목민과 연관될 가능성이 있지만, 이는 단순한 우연일 수도 있습니다. 파라오 야곱은 힉소스 왕조의 중요한 인물 중 하나로, 그의 통치는 이집트 역사에서 독특하고 중요한 시기를 대표합니다.

 

 

 

 

 

요셉을 알지 못하는 새 파라오는 누구였습니까?

Ahmose는 신왕국(1540-1080; 아래 차트 참조)으로 알려진

이집트 세력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던 새로 만들어진 18왕조의 첫 번째 왕이 되었습니다.

요셉을 알지 못하는 왕이었습니다.

 

https://www.google.com/url?cad=rja&cd=&esrc=s&q=&rct=j&sa=t&source=web&uact=8&url=https%3A%2F%2Fen.wikipedia.org%2Fwiki%2FYaqub-Har&usg=AOvVaw2z7evc59A04sG4NolvTZrc&ved=2ahUKEwiFz5PP24__AhV9mVYBHT2-A3cQFnoECAoQAw

 

www.google.com

 
crossroadsbible.net
https://crossroadsbible.net › 2022/02/04 › the-king-wh

 

 

  Joseph요셉 (BC17세기)

요셉은 야곱이 90세에 출생하여 110세에 사망 (BC1701 - 1591)

Born   Paddan Aram, Aram-Naharaim (present-day Harran, Turkey)
Died Second Intermediate Period of Egypt (present-day Egypt)
Resting place Joseph's Tomb, Nablus, Palestine 32°12′47″N 35°16′58″E
Other names Zaphnath-Paaneah 사프넷 바네아 (해몽한 후, 파라오가 내린, 요셉의 이집트식 이름)

 

 

 

모세 이름의 어원은 이집트어로 '~의 자식'라는 뜻의 msy로 본다. 

파라오 중에는 신의 이름을 붙여 토트의 자식이라는 의미의 투트모세나 

라의 자식이라는 의미의 람세스(= 라모세)라는 이름을 가진 경우가 있다.[10] 

타나크에서 모세를 적는 방식에 기인해 물의 자식, 

즉 나일강의 자식(mw-š)이라는 의미를 가진다는 의견도 제기되었다.[11] 

그러나 당대 m-š-h의 히브리어 발음과 msy의 이집트어 발음이 서로 닮지 않았다며

 이집트 어원론 자체에 의문을 제기하는 학자도 존재한다.[12]

 

 

출애굽기에서는 모세의 이름이 지어진 경위에 대해 설명한다.[10][13]

파라오의 딸이 모세를 물에서 건져냈다며 '건져냄'(히브리어: מְשִׁיתִֽהוּ)의

히브리어에 따와 '모세'(히브리어: מֹשֶׁה)라 지었다는 것이다.[14][15]

 

유대교에서는 '건져짐'이 아니라 '건져냄'이 그 어원임에 착안하여

이 이름이 모세가 후에 유대인을 이집트에서 탈출시킬 것을 미리 예지하는 이름으로 보기도 한다.[16][17]

이를 모세의 이집트 어원을 히브리어 어원으로 교체하려는 시도로 보기도 한다.[17]

 

필론과 요세푸스는 모세의 이름이 이집트어 기원을 가졌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필론은 모세의 이름이 콥트어로 '물'(μῶυ)에서 기원했을 수도 있다고 말한다.[18]

중세 유대교 학자들은 어찌 파라오의 딸이 그 이름을 히브리어로 지을 수 있겠느냐고 의문을 제기한다.

파라오의 딸이 유대교로 개종했거나 요게벳이 그 이름을 짓는 데 관여했다고 보기도 한다.[19][20]

 

 

모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모세(히브리어: מֹשֶׁה, 영어: Moses, Moshe Rabbeinu)는 유대교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예언자이며,[1][2] 아브라함 종교인 기독교, 이슬람교, 바하이, 드루즈의

ko.wikipedia.org

 

 

 


■모세(Moses)

 

출애굽기의 전기설과 후기설 

 

전기설 BC 1526 ~ 1406 

후기설 BC 1300 ~1200

 

출생: Land of Goshen, Egypt  

사망: 요르단 Mount Nebo

바이블 기록

(1) 그는 40세에 도망자 신세로 40년을 미디안에서 살다 야훼의 부르심을 받는다(1-4).

(2) 모세는 우리 족속 모두가 애굽을 떠날 수 있게 파라오를 설득하지만 매번 거절당한다.

     이때 야훼는 파라오에게 저주를 내리신다.

     히브리 백성외에 파라오를 비롯한 모든 이집트안의 장자를 잃게되는 유월절에 절정을 이루게 된다(5-12).  

(3) 오합지졸로 출애굽하면서부터 이들에 시련이 닥치게 된다(13-18).

(4) 시내산에 이르러 모세를 통하여 이스라엘과 쌍방계약을 야훼는 맺는다(19).

(5) 그것은 언약이 삶에 원칙으로 적용되는, 전반부 5계명은 이스라엘과 야훼 하나님과의 관계에 관한 지침이며

후반부 5계명은 이스라엘 사람과 사람에 관한 지침의 십계명이라는

언약의 모퉁이 돌로 표현된다(20). 그리고 가나안을 향해 진군하게 된다.

 

 

3. 위의 1항의 문단에서 언급한것과 마찬가지로, 성경의 출애굽도 주변국가들의 기록이 조금 남아있어

    역사적인 추론을 하기전에, 바이블적 의미에서 맥락을 찾아 보고자 한다.

    출애굽 구원 사건의 본질은 홍해를 건넌 사건보다는 시내산 계약에 있다고 하지만,

    직접적으로 노예로 부터 해방과 동시에 죽음으로부터 구원해 냈다는 그들의 신()에 대한

    그들의 감정은 어떤 사건보다도 감읍(感泣)할 일이 아닐 수 없었을 것이다.

 

    그러므로 그들이 꿈에도 잊지못할 구원의 출애굽 사건이야 말로

    구약에 있어 Topic중에 토픽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고대에 일어 났다는 출애굽에 대한 진위 및 저자, 성막등과 출애굽 연대등에

    학계에 논란이 지금까지도 끝나지 않고 있다.[1]

 

    성서에서 이스라엘은 족장 야곱에게 주어진 이름으로서 제일 처음 나온다.

    야곱에게 태어난 열두 아들의 후손들은 이스라엘 자손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창세기 32:22-28,32  ;  35:9,10)

    세월이 흘러, 예언자 모세와 이집트의 파라오도 야곱의 후손들을 지칭하는 데

  이스라엘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였다. (출애굽기 5:1, 2)

 

 

 

4. 이스라엘의 기원

 

사실상 이스라엘 민족은 출애굽을 그들의 민족사에 기원으로 본다.[2]

이스라엘의 하나님이 그들의 선조들을 애굽의 노예로부터 탈출시켜

소위 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 복지로 인도했다는 것이다.

 

물론 성서외에 어떤 역사적 자료에도 출애굽에 대한 기록은 없다.

그리고 요셉이 총리(재무)대신 되었던 이집트를

히브리 민족과 같은 계열의 셈족인 이방민족, 힉소스 왕조가 통치했다거나,

아마르나 문서에도 등장하는 하비루(Habiru) 라 불리는

가장 낮은층인 유목민 족속이 가나안땅에서 이집트까지 활동한 흔적이 있다고 하여

성서와 다른 시각의 학계의 주장들도 있다.

런 까닭에 학자들은 출애굽에 대한 기록을 출애굽 사건보다는 출애굽 설화라고 부른다.

그렇게 보아야 하는 근거를 본문에서 다룰 것이다.

 

 

 

5. 바이블 모세오경과 같이 출애굽이 있었다는 전제하에

   그에 맞는 출애굽 연대로 필자는 글을 전개해 보고자 한다.

 

   팔레스타인의 가나안 지역으로 모세와 모세이후의 야곱요셉 족속의 후손들이

   가나안을 들어가는 모습에서 정복설, 정착설, 민중봉기설의 에세이(Essey)를 쓰기전에

   논란이 있는 출애굽 연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출애굽, 그 상황 및 배경을 알게되면 이집트를 떠난 히브리인들이

   어떤식으로 가나안에 들어가게 되었을런지를 유추할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1] *김호남, 새로운 구약이해(북코리아, 2013,경기)63-64

*McNeil A. H., the Book of Exodus(London, Methuen & co, 1917), pcxxii

*Harrison, R.K.,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Grand Rapids, Eerdmans, 1969)

= 류호준,박철현,노한규 공역(서울,크리스챤다이제스트,2007)11

[2] 안병무,역사와 해석(한국신학연구소,2010,서울)78-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