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나린푸실 이야기/철학 이야기

■Exiciting(?) Animal Kingdom (신기한 동물의 왕국)

Narin Pusil 2021. 6. 28. 09:53

■Elitism(meritocracy)governed by the law of the jungle.

     정글의 법칙이 적용되는 엘리트(능력)주의.

 

 

■국민의 힘 당대표, 이준석이 외쳐대는 능력주의, 엘리트주의.


1. 능력주의(能力主義, meritocracy)는, 부(富)나 권력과 같은 희소한 자원의 분배에 있어서 사람의 재능,

    노력 및 성취도를 평가하여 차등적으로 보상하는 것을 긍정하고, 그러한 사회를 추구하는 정치 철학이다.

2. 엘리트주의(영어: Elitism)는 사회가 소수의 집단인  엘리트 (elite)를 중심으로 한다고 보는 견해의 총칭이다.

    또한 그러한 엘리트 계층이 사회를 이끌어야 한다고 믿는 입장을 가리키는 말로도 쓰인다.

3. 동서고금(東西古今)에 있어 왔지만 둘다,  <서구기독교제국>에서 심화된, 선악(善惡)의 이분법(二分法)에 근거하고 있다.

4. 이런원리는 적자생존(適者生存, 영어: Survival of the fittest)을 낳게하는 약육강식(弱肉強食)을 뒷받침해주는 근거가 된다.

 


5. 약한 자가 강한 자에게 먹힌다는 뜻으로 영어로는 "the law of the jungle" 즉 힘이 있는 자가 약자를  잡아 먹는 "정글의 법칙"이다. 

6. 동물의 세계도 아닌, 이성(理性, Ratio)의 힘으로 살아가야 하는 인간들의 21세기 시민주권사회 국가에서 있어서는 안될, 빈곤· 범죄· 도박· 매음등을 낳게하는, 능력주의 - 엘리트주의는 사회가 가진 모순의 뿌리가 되는 가장 큰 사회악(社會惡, social evil)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