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6-5 어떻게 모세의 무리들이 40년간을 시나이 광야에서 생존할 수 있었을까?

6.5 (이집트 왕국과 힛타이트 제국) 그리고 유목민도 아닌, 모세의 무리들이 출애굽하여 40년간을 시나이에서 살아갈 수 있었던 까닭? ■아모리족의 수메르 칼데아 Ur 사람, 아브라함의 우르에서 하란, 가나안으로 가는 이야기와 같은, 그 이야기의 짝퉁같은 이집트 고센땅에서 가나안으로 가는 셈족(Semites)의 모세의 출애굽 이야기, 1. 히브리 무리가 평탄한 지중해 연안 길을 버리고, 시나이 반도 아래 드라이한 돌밭 광야 지대를 따라 탈출했을까 ..... 2. 이집트 18왕조를 연 아흐모세 1세 (=네브페흐티레: Neb-Pehty-Re, “주(主), 의 아들" 라는 뜻) 는, 15왕조 힉소스- 이집트 왕조를 정복하고 그들을 시나이쪽으로 쫓아냄. ㅡ 이전에 히브리족의 전신인 가나안족인 힉소스족이 이집트를..

7-3. (맺음) 출애굽 연대설과 가나안 정착설에 대한, 필자의 생각

■출애굽 연대설 출애굽의 여러 설들이 난무하지만, 출애굽이 언급된 필자의 본문 내용과 같이, Ancient Egyptian Dynasties https://www.crystalinks.com/egyptdynasties.html Ancient Egyptian Dynasties - Crystalinks Ancient Egyptian Dynasties www.crystalinks.com 15왕조, 힉소스 파라오(Hyksos Pharaoh) BC1270(1550)년경 다시 절치부심의 상-이집트에 물러가 있던 이집트 원주민 왕조(16,17왕조) 세력에게 북으로 밀려, 하-이집트 힉소스 15왕조는 축소되가고, 앞서 언급한대로 결국 힉소스 15왕조를 이집트에서 몰아 낸 아흐모세 I세에 의해 18왕조가 개조되었으며 이..

(비교) K목사 ... "이게 맞습니까?" .. 조금 열받아서 댓글까지 그대로 실었습니다.

James Kang(나린푸실) ■물론, 예수 가르침이지만, 제자도를 말하기보다는, 예수 자신이 터트리는 당시 갈릴리 현실에 대한 분노이고, 이 분노는 유대땅 예루살렘 헤롯성전에서 폭팔한다. 이는 훗날에 신학자들에 의해 성전정화(Cleansing of the Temple) 사건으로 명명(命名)되었다. 《참고》 1. Australia Sydney지역 Lidcombe에 있는, 새언약교회 담임 K 목사는, 안양대 신학과 및 신대원 (M. Div)을 마치고, 호주 몰링(Morling) 신대원 (M.A in Theology) 졸업한 후 현재 호주 무어(Moore) 신대원(M.A in Theology)에서 공부하고 있습니다. 2. 가족을 분열시켜 가정의 평화를 깨뜨리려 예수님이 왔다고요? https://m.blog...

8. Erasmus & Luther(에라스무스와 루터)

에라스무스에 대한, 루터의 불손(不遜)한 말씨(言辭). 에라스므스나 마틴 루터 공히 교회를 개혁하고자 했다. 그러나 그들이 원하는 개혁에 있어 적용되어야 할 시대적 세계관에 따른 방법론에 서로의 생각의 차이가 있었다. 16세기 로만카톨릭에 대한 교회개혁에 있어 로테르담의 에라스므스와 비텐베르크의 마틴 루터, 그들의 자세와 역할을 대조하여 비교해 본다. ※ 단락마다, 제임스강의 에세이Essey에 대한 Lecturer의 질(문)과 제임스강의 (답)변이 있다. 1. 에라스무스의 저서들을 연구하던 루터는, 95개조 반박문을 발표할 당시에 에라스무스의 지지를 얻기 위해 직접 편지들을 여러번 보냈다. 그러나 그 편지들에 담긴 루터의 생각에 대해 에라스무스는, 휴머니즘 그 자체와 그에 따른 학문의 부흥 그리고 그가 ..

1. 신앙과 신학(들어가며)

신앙과 신학 그리고 과정신학 (Faith, Theology and Process Theology) ▒목차▒ ►들어가며(초록) 1. 신앙 2. 신학 3. 과정신학 ►나가며 (필자의 견해) *참조자료 들어가며 믿을信, 우러러-복종할仰의 신앙은, 개인 자신이 어떠한 처지가 되었든 자신이 선택하고, 그것을 누리고, 종국에는 자신의 인생처럼 자신이 책임져야 하는 주관적인 것으로 어느 누구도 개인의 신앙을 폄하해서는 안된다. 하지만 집단적 행태로 나타나는 신앙적 행위는 사회 공적인 일과 결부되는 일이기에 훗날을 위해서라도 반드시 옳고 그름을 분별해야 하고 판단해서 조치해야 마땅한 것이다. 한편, 신(귀신)神, 배울學의 신학은, 신을 알려 힘쓴다는 것인데, 조직신학적 논증에 있어 신학적인 판단력 형성의 개별적인 단계..

생육하고 번성해야할 여성의 역할의 의미가, 동정녀로 말미암아 상실되었다.

《여성 위상(位相)의 변천사》 [1] "인간의 욕구 중 성욕처럼 극단적인 취급을 받는 것은 없다.” - 에케하르트 로터 번식능력의 축복 :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여라. (Gen. 1:28) 고대 중근동에서 행해지던, 이쉬타르 여신의 축제 혹은 숭배도, ’번성하라’는 창세기 기록대로 야훼의 축복과 같이 ‘다산과 풍요 그리고 사랑’이라는 인간의 삶과 깊은 관련이 있다. – 그렇다면 창세초의 야훼도 바알(BAAL)등과 같은 생육과 번성과 풍요를 표방하던 중동의 신들중에 하나가 아니였을까? – 이 역시 ‘뿌려지고 생장하고 거두어진다’ 라는 순환적인 패턴이 침투된 그리스 문화(신화)처럼 인간의 태어남, 자람, 죽음과 결합되어 이쉬타르 여신의 숭배를 인간의 삶과 연결시켰다. 이쉬타르 숭배는 성적 자유 축제..

1. 가난은,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또 하나의 폭력이다.

가난은, 또 하나의 폭력이다. - JK 돌아서던 내 등뒤로 터지던 네울음... 가난하다고 해서 그 외로움을 왜 모르겠는가 가난하기 때문에 이것들을, 이 모든 것들을, 버려야 한다는 것을...① 가난만큼 힘든 건 없는 것 같다. 가난은 사랑하는 사람들, 가족끼리도 멀어지게 하는구나... .. 라는 걸 그때 느꼈다.② 가난은 단순히 돈이 없음을 뜻하지 않는다. 그것은 인간으로서 가지는 가능성을 박탈당하는 것을 뜻한다.③ 가난이야말로 가장 나쁜 종류의 폭력인 것이다.④ (1-신경림, 중에서, 2-아이유(가수), 3-아마르티아 센, 4-마하트마 간디) ※아마르티아 센(Amartya Sen). 인도가 낳은 세계적 경제학자이자 사상가. 아시아 최초의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로, 불평등과 빈곤 연구의 대가이자 후생경제학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