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나린푸실 이야기/역사(신화) 이야기

윌버포스

Narin Pusil 2022. 8. 26. 23:47

ㅡWilliam Wilberforce, 영국의 정치인이다. 주요업적은 영국의 노예제 폐지(1834년), 노예무역폐지법 제정(1807년), 카톨릭교도의 정치적 해방 지원, 선언협회 설립 등이 있다. 복음주의자그룹의 중심인물로 해외선교운동에도 활약했다. 그가 사망한 1833년 영국에서 노예제 폐지법안이 국회에서 통과되었으며, 이듬해 대영제국 전역에서 노예제가 완전히 폐지되었다

 

 

 

“국가적 양심의 권위 있는 해석자”로 묘사되던 윌버포스(William Wilberforce, 1759 -- 1833)는 1797년에 본서(원제: Practical View of the Prevailing Religious System of Professed Christians, in the Higher and Middle Classes in this Country, Contrasted with Real Christianity)를 출간하여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지금까지 수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치고 있다.

– 역자 : 서진영

이화여대 사학과, 골든콘웰신학대학원을 졸업했고, 중국 선교 사역과 번역 활동을 하고 있다. 역서로 아버지, <제가 어떤 아이가 되기를 바라셨어요?> <성공하는 리더의 9가지 성품>(요단) 등이 있다.

○ 책속에서

예수님은 마치 윌리엄 윌버포스를 설명하기 위하여 산상설교에서 소금과 빛의 은유를 사용하신 듯하다. 그 정도로 윌버포스는 서구 사회의 법률과 도덕에 어떤 기독교인보다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영향력은 오늘도 살아 있다.

이 유례없이 헌신적인 인물은 노예제도의 부패와 악독함이라는 짙은 어둠에 빛을 비추었다. 그가 비춘 빛은 그의 생전에 대영제국에서 노예제도의 암흑을 몰아냈고, 그가 죽은 뒤에도 그 어둠 속으로 계속 침투해 들어가서,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이 노예해방 선언서에 서명함으로 미국의 노예들을 해방시키는 데까지 이어졌다. _서문 중에서

이 모든 일들을 통해 윌버포스는 기독교인이 되었다. 그에게는 이것이 일상적인 경험이 아니라, 그의 전존재가 복음의 열정으로 타오르게 만든 일이었다. 이 위대한 영적 변화는 그로 하여금 자신의 삶과 목적을 재평가하게 만들었다. 잠시 동안 그는 자신의 믿음을 위해 공직 생활에서 물러날 생각도 했다. 그는 당시 수상이었던 친구 윌리엄 피트에게 이런 사실을 털어놓았고, 피트는 그에게 물러나지 말고 정치를 통해 그리스도를 위한 대의에 자신을 헌신하라고 확신 있게 말했다.

하나의 감정이 그의 온 마음을 지배했다. 이는 자나 깨나 그를 쫓아다녔다. “내 죄!” 그는 외쳤다. “내 죄, 내 죄, 내 죄!” 이것이 그를 불안하게 하고 절망하게 한 생각이었다.

“내 과거 삶의 깊은 죄악과 은혜를 망각한 죄가 가장 강력한 색깔로 내게 다가왔다. 나는 귀중한 시간과 재능을 낭비한 것에 대해 자책했다. 벌에 대한 두려움보다는 나 자신의 거대한 죄에 대한 느낌이 더욱 컸다. 이 생각의 영향이 너무나 커서, 몇 달 동안 나는 내 죄에 대한 깊은 확신에서 오는 깊은 절망에 빠졌다.

“나의 깊은 죄! 나의 큰 죄악! 나의 감사 없음!”

그의 영혼이 고통스런 외침으로 가득 차 있던 그 해에 그는 스물여섯 살이었다. “하나님, 이 죄인에게 자비를 베푸소서!” 그는 외쳤다. 그리고 그의 기도가 응답받았다는 확신을 받았을 때, 새로운 외침이 터져 나왔다. “나 같은 죄인을 위해서 그리스도께서 돌아가시다니 이 어떤 무한한 사랑인가!”

① 성경 – 하나님의 말씀 우리가 청지기로서의 직무에 대해 심판을 받을 때, 우리 몸을 어떻게 사용했으며, 다른 사람의 궁핍과 필요를 채워주는 수단들을 어떻게 사용했는지 설명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우리 본성의 보다 고상하고 훌륭한 능력들, 즉 발명과 판단과 기억 등의 능력을 어떻게 사용했는지, 근면한 적용과 진지한 반성과 정직한 결정의 기회를 어떻게 사용했는지 설명해야 할 때가 온다.

② 인간 본성의 타락에 대한 잘못된 생각 자칭 그리스도인들은 대개 인간은 날 때부터 순수하고 모든 미덕을 사랑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한다. … 그러나 기독교의 언어는 이와는 달리 완전히 모욕적이다. 기독교는 인간을 그 원래 상태에서 떨어져 본성적으로 타락하고 모든 점에서 부패한 배교자들로 본다. 인간은 선을 향하지 않고 악을 지향한다. 그들이 악으로 향하는 것은 그것이 그들에게 너무나 자연스럽고 쉽기 때문이다. 그들이 덕을 지향하지 않는 것은 그것이 그들에게 어렵고 힘들기 때문이다. 인간은 조금, 혹은 겉만 죄로 물든 것이 아니라, 속속들이 철저하게 죄로 물들었다.

①과 ②는 「이 나라의 상류층과 중산층에서 자칭 기독교인들 가운데 널리 퍼진, 진정한 기독교와 전혀 다른 신앙 체계에 대한 실제적 고찰」 발췌문.

○ 출판사 서평

“전능하신 하나님께서는 내게 두 가지 위대한 목표를 주셨다. 노예무역 폐지와 도덕의 개혁이다.”

윌버포스는 노예해방의 십자군일 뿐 아니라, 기독교 개혁가로서 그의 저작은 오늘날 교회의 부흥에도 필요한 음성을 들려준다. 당신은 고전이 된 그의 저서「이 나라의 상류층과 중산층에서 자칭 기독교인들 가운데 널리 퍼진, 진정한 기독교와 전혀 다른신앙 체계에 대한 실제적 고찰」을 만나볼 수 있다. 당신은 이 책을 통해 ‘고래가 된 새우’ 윌리엄 윌버포스를 알게 될 것이다.

윌버포스의 가장 큰 소망과 기도는 예수님과의 인격적인 관계였다. 이 책을 통해서 많은 사람들이 예수 그리스도와 인격적인 관계를 갖게 되기 바란다. 그는 다음과 같은 평을 들었다.

‘영국에서 가장 재치 있고 가장 종교적인 사람이다’ _마담 드 스타엘 Madame de Stael
‘내가 만난 사람들 중에 가장 뛰어나고 타고난 웅변가다’ _윌리엄 피트 William Pit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