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나린푸실 이야기/신학 이야기

생태신학으로 성경 읽기

Narin Pusil 2019. 12. 12. 20:46

[생태신학으로 성경 읽기]

 

백운철 스테파노 신부(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장)

 

 루아흐, 하느님과 인간과 자연을 잇는 생명의 고리

 

구약성경은 하느님과 인간과 자연을 전일적이고 통합적으로 볼 수 있는 여러 관점을 제공하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루아흐(ruah)’이다. 바람, 공기, , 영 등 다양한 의미가 히브리어에서는 루아흐라는 한 단어로 표현된다. 루아흐는 본래 바람 소리나 숨 쉬는 소리를 나타내는 의성어이다.

 

바람 또는 숨

 

루아흐는 우선 바람을 가리킨다(코헬 1,6; 1열왕 18,45; 2열왕 3,17; 시편 148,8; 예레 49,36; 에제 37,9 참조). 이 대기를 움직이는 분은 하느님이시다. 그분께서 바람을 곳집에서 끌어내시고(시편 135,7; 참조 예레 10,13) 바람의 무게와 물의 양을 정하신다( 28,25-26 참조). 이는 비의 법칙과 뇌성 번개의 길을 정하시는 것과 맥을 같이한다. 이처럼 뇌우를 동반하는 바람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팔레스티나처럼 건조한 지역에서 농사를 짓는 사회에서는 당연한 일이다. 이스라엘의 곡물 생산과 과일 재배는 겨울 우기 때 지중해에서 불어오는 편서풍의 습윤한 대기가 만들어내는 강우량에 온전히 의존한다. 루아흐가 일차적으로 대기의 흐름이나 바람을 가리키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우리는 대기를 숨으로 들이마신다. 생명이 루아흐에 의존한다는 이야기는 무엇보다 창세 2,7에 잘 나타난다. “주 하느님께서 흙(아다마)의 먼지(아파르)로 사람(아담)을 빚으시고, 그 코에 생명의 숨(너샤마 하이임)을 불어넣으시니, 사람이 생명체가 되었다.” 시편은 생명의 원리인 루아흐를 인간뿐 아니라 모든 생명체에 적용하여 언급한다(시편 104,29-30 참조). 그러나 하느님께서 당신의 숨결(루아흐)과 입김(너샤마)을 되돌리시면 모든 육체는 죽어가고 사람은 먼지(아파르)로 돌아간다( 34,14-15; 참조 시편 146,4). 죽을 때 루아흐는 그것을 주신 하느님께 돌아간다(코헬 12,7 참조).

 

이처럼 대기의 바람과 동물의 숨을 가리키는 루아흐는 하느님의 존재와 활동을 드러내는 탁월한 장소이다. 루아흐는 하느님에게서 왔고(민수 11,31 참조) 하느님의 신성을 담고 있다. 루아흐는 인간이 조절하거나 통제할 수 없는 대상이라는 점에서 거룩하다. 그래서 루아흐는 하느님의 바람 또는 주님의 바람’(호세 13,15)이라고 불린다. 무엇보다 하느님께서는 당신의 콧구멍(‘아프를 성경은 노호라고 번역함)에서 나오는 루아흐로 물을 모으고(탈출 15,8 참조) 루아흐를 일으키시어 바다가 그들을 덮치게 하셨다(탈출 15,10 참조). 주님의 루아흐가 이스라엘을 바다에서 구원한 것이다.

 

한편 루아흐는 우기에 지중해에서 불어오는 뇌우의 바람을 가리키기도 한다(시편 107,25 참조). 이런 대기현상은, 하느님의 백성이 젖과 꿀이 흐르는 땅에서 살아가는 삶을 보장해준다. 그것은 하느님의 현존과 그분의 활동을 드러내는 주요한 표지였다.

 

하느님과 루아흐

 

창세 1,2에 의하면, 하느님의 루아흐가 심연 위를 감돌고 있었다. 여기서 루아흐는 자연현상이며 동시에 하느님의 존재와 활동을 가리키는 신성한 것이다. 루아흐가 본시 대기현상인 바람과 이를 호흡하는 숨결을 의미하였으나, 창세 1,2의 경우처럼 영(spirit)이라는 말로 번역되기도 한다. 흠정역 성경(KJV), 개정 표준역 성경(RSV),루터역 성경(LUT), 그리고 한국 천주교 공용 성경은 창세 1,2의 하느님의 루아흐를 하느님의 영으로, 새 개정 표준역 성경(NRSV)과 예루살렘 성경(FBJ)은 하느님의 바람으로, 불어 공동번역 성경(TOB)은 하느님의 숨결로 번역한다.

 

하느님께서 당신이 뽑은 이들에게 사명과 말씀을 주시고자 루아흐를 보내는 경우에는 영으로 번역한다. 판관(판관 3,10; 6,34; 11,29; 13,25), 메시아(이사 11,2; 61,1), 예언자(이사 42,1; 44,3; 48,16; 59,21; 63,11; 에제 2,2; 3,12.14.24; 8,3; 36,27; 요엘 3,1.2; 미카 3,8; 하까 2,5; 즈카 4,6; 6,8; 7,12)에게 주어지는 하느님의 루아흐는 모두 영으로 번역한다.

 

인간의 루아흐

 

루아흐가 사람에게 적용되면 숨결 외에도 영, 마음, 정신, , 용기, 노기 등으로 다양하게 번역된다(창세 41,8; 45,27; 탈출 6,9; 35,21; 민수 5,14; 11,17.25; 14,24; 16,22; 27,16; 신명 2,30; 34,9; 여호 2,11; 5,1; 판관 8,3; 15,19; 1사무 1,15; 30,12; 1열왕 10,5; 21,5; 이사 19,3; 25,4; 31,3; 33,11; 예레 3,14; 10,14; 에제 3,14; 37,5; 하바 2,19; 즈카 12,1; 시편 31,6; 32,2; 34,19; 76,13; 104,29;  6,4; 7,7; 코헬 7,9 ). 인간은 숨을 통해 생명을 유지하고 숨을 바탕으로 영, 마음, 정신, , 용기, 노기로 표현되는 현실을 경험한다. 대기로서의 바람과 공기, 이를 호흡하는 숨결의 결과로 이어지는 내적 상태에 이르기까지 루아흐는 매우 통합적인 현실을 지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