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고대중동 이야기

▶수메르(Sumer)

Narin Pusil 2020. 8. 30. 20:00

 

*수메르 (우바이드/ 우르/ 우루크/ 마리/ 라가시/ 라르사),         * 고대국가 (아카드/ 바빌로니아/ 아시리아),  *신화와 문학 (메소포타미아 신화/ 길가메시 서사시/ 에누마 엘리시/ 천일야화)

 

 

1. 수메르(Sumer)는 메소포타미아의 가장 남쪽 지방으로 오늘날 이라크의 남부 지역이다.

수메르 문명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문명으로 그들이 어디서 왔는지는 정확히 모르지만,

수메르인은 대략 기원전 5,500년에서 기원전 4,000년 사이부터 수메르 지방에서 살기 시작하였다.

2. 수메르 문명이 가장 융성했던 때는 기원전 제3천년기로, 역사학자들은 통상적으로 이 1000년의 기간을 크게

초기 왕조 시대(2900?~2350? BC), 아카드 왕조 시대(2350?~2150? BC),

우르 제3왕조 시대(2150?~2000? BC)의 세 시대로 구분한다.

3. 그 후 기원전 2000년 쯤에 유프라테스 강의 서쪽 즉 아라비아에서 온 셈족 계통의

아모리인이 수메르 지방을 점령하고 고대 바빌로니아를 세움으로써

수메르 문명은 국가 형태로서는 완전히 사멸되었으나,

수메르 종교와 문화의 흔적이 바빌로니아인 · 아시리아인을 비롯한

다른 민족 및 문화 집단들의 신화와 종교 그리고 문화 속에 남아 있다.

 

 

https://blog.daum.net/james_kang_2019/44

 

5. 수메르(SUMER) 건국과 이스라엘의 역사시대 개막 -1

수메르(SUMER) 건국 1. BC3000경, 교류가 없던 이집트 건국신화와 비슷한 시기에 수메르 지역을 지배하던 아카드(Akkad)인들과 바빌로니아 지역을 지배하던 쿠티아-인들을 몰아내고 수메르인의 우르-

blog.daum.net

 

 

수메르의 역사

 

수메르의 도시국가들은 선사시대의 우바이드기와 우루크기에 성장하기 시작하였다.

기원전 29세기경 초기 왕조 시대부터 역사적 기록들이 드물게 발견되기 시작하여,

기원전 26세기경 라가시시대부터는 많은 자료들이 발견되고 있다.

고대 수메르는 기원전 24세기에 아카드 제국이 들어서면서 막을 내린다.

 

이후 구티인 지배 시기를 지나, 기원전 22세기 수메르 부흥기를 맞았다가,

기원전 20세기경에 아모리인이 침입한다. 아모리인의 이신 왕조는

기원전 1730년, 메소포타미아가 바빌로니아 지배하에 들어갈 때까지 유지된다.

 

 

 


우바이드기(-期, 기원전 6090년경 혹은 5200년경 ~ 기원전 4500년경)

 

특징적인 양식을 갖는 양직의 도기류들이

메소포타미아와 페르시아 만 영역에 분포되고 있다.

당시 수메르인의 종교적 중심지는 에리두였으나,

인근의 도시인 우루크가 점진적으로 성장하여 에리두를 추월하게 된다.

 

고고학적으로 우바이드기에서 우루크기로의 이동은

느린 물레에서 만들어진 채색 토기에서, 빠른 물레에서 양산하여 만든 비채색 토기로 바뀌는 현상으로 나타난다.

제4우바이드기에서 초기우루크기로의 이러한 변화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대략 기원전 45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우루크기(기원전 4500년~3100년)

 

① 대량의 물품이 남부 메소포타미아의 운하와 수로를 통해서 거래되면서,

거대한 신전 중심 도시들이 많이 세워졌고, 집권화된 관료층이 전문화된 일꾼들을 고용하였다.

이 시기에 노예 제도가 시작되었다는 많은 증거가 발견되고 있다.

많은 공예품과 우루크의 식민지들이

터키의 타우루스 산맥과 지중해 서안, 이란 중부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서 발견되고 있다.

 


② 수메르 상인들과, 이민자들에 의해서 우루크기의 문명은

모든 주변 세력에게 영향을 미쳤고,

점차 주변 세력들도 경제적으로나 문화적으로 비교될 만큼 성장하였다.

그러나 수메르의 도시들은 먼 거리의 식민지를 무력으로 제압할 만한 군사력은 갖추지 못했다.

 


③ 우루크기의 끝은 기원전 3200년~2900년 무렵 기후변화 시기와 일치한다.

이 시기에 홀로세 최적기후(Holocene climatic optimum)라고 불리는

따뜻하고 습도가 높은 기후가 끝나고, 건조한 기후가 지속되었다.

④ 역사적 기록들은 대체로 수메르인이 메소포타미아 남부에 한정되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루갈-안네-문두(Lugal-Anne-Mundu)와 같은 왕은

지중해, 타우루스, 자그로스까지 영역을 넓혔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또한 그보다 조금 전에, 에리두 문화가 우루크 문화로 넘어가는

역사적 과정의 신화와 관련되어 있는 엔메카르길가메시와 같은 왕들도 넓은 지역을 통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