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1. 출애굽 그리고 가나안 정착

(5-3) 힉소스의 이집트 칩입

Narin Pusil 2020. 4. 15. 11:17

5.3  힉소스, 이집트를 칩입하다. [1][2]

 

 

 

힉소스(Hyksos)의 이집트 지배

Yahoo! Blog 힉소스 역사 이야기를 읽어보면 ....번영하던 이집트의 중왕국(12,13왕조)이 갑자기 세력이 약해지면서지방 통치자들의 분할 통치가 시작되었다.이 때에 힉소스(Hyksos; 목자 왕들, 이국의

m.cafe.daum.net

 

 

 

 

1. 번영하던 고대 이집트-중왕국 13,14왕조가

갑자기 세력이 약해지면서 지방 통치자들의 분할 통치가 시작되었다.

 

2. 이때 앞서 ‘*저주문서에서 말한

서남아시아 팔레스틴에 살던 셈족과 아시아인의 혼합 집단으로

양치기왕, 목자, 족장, 타국통치자(heqa-khase) 등으로 불리우던

힉소스(HYKSOS)라는 셈족

기병과 신무기로 무장한 병거를 몰고 이집트를 쳐들어 왔다.

그러한 최신 무기를 이집트 군대는 처음 보았고

더구나 중앙세력이 약했던 14왕조는

힉소스의 공세에 밀려 나일강 남쪽(-이집트)으로 밀려가고

-이집트 지역에서 15, 16왕조를 세운 힉소스에 의해 이집트 중심이 통치되었다.

 

 

*저주의 문서(execration texts) 

파라오의 적들의 이름을 적은 다음 저주의 의미로 깨뜨린 도기에 적혀 있는 글

(발람의 저주)

ㅡ가장 오래된 저주 문서는 이집트 고왕국 시대의 제6왕조(기원전 24~22세기)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그들은 굽지 않은 점토로 만든 작은 조각상으로 가슴에 이름표가 새겨진, 때로는 빨간 잉크로 묶인 외국인의 모양으로 만들어졌습니다.

                           Hyksos is simply the Greek version of an Egyptian title,

                                Heka Khasut, meaning “rulers of foreign lands/hill countries.” 

 

 

 

 

 

3. 멤피스를 완전히 장악한 ‘살리타스’

이민족  힉소스 첫 파라오가 되었고

고센 지역을 포함한 -이집트를 약 150

<대략, BC16세기 전후, 1640(or 1720)년 부터 ~ 1532(or 1570)년 까지)>을 지배하게 된다.

힉소스의 특유의 성벽이 지금까지 남아있는 것으로도 유추해 볼 수 있다.[3]

 

4. 힉소스는 왕도를 동부 ‘아바리스’에 정하고

아래 그림과 같이 시리아, 팔레스틴(가나안 지역),

시나이를 포함한 서남 아시아 서부쪽까지 다스리며,

이집트를 칩입한 힉소스들이 이집트 지배층으로

그리고 최초의 이민족 왕조로 Hyksos Kingdom의 세력을 떨치며

파라오로 군림하게 된다.

그것이 원인이 되어 그 후로 이집트인들에게는

후대 역사에서 일종의 트라우마로 작용해

가나인들에 대한 끊임없는 봉쇄정책으로 이어졌다고 한다

 

 

5. 그때, 그 틈을 타 묻어온 집단의 족속()이 있었다.

그들은 힉소스가 이집트를 정복할때 많은 힘을 실어 준 집단이 었다.

15왕조의 파라오는 Nile-Delta가 있는 검은빛을 띠고 있는

비옥한 토양인 ‘고센’지역을 그들에게 주었고(*협정)

그 땅에서 풍요를 누리던 그들은 훗날 히브리인으로 이스라엘 민족의 조상이 된다.

그때 야곱과 요셉의 시기에는 이스라엘의 선조들은 노예로 살지 않았다는 말이다.[4][5]

 

 

Map of the Realm of the Hyksos The foundation of their capital Avaris, which used to be referred to as Tanis. The beginning of their domination of the Delta took place in about 1720 BCE, according to the 400 year stela of Ramses II found there, which describes the arrival of his father Seti, then Vizier of Horemheb at Tanis to celebrate the 400th anniversary of the adoration of Set at Tanis. (Avaris, Tanis, Pi Ramses, same place - the House of Set - Satan).



[1] 김희권, 모세오경 (복있는 사람, 2017) 437

[2] K.L. Noll, Canaan and Israel in Antiquity : An Introduction, 소형근(프리칭아카데미,2009)148-제5장

[3] Gerald Leinwand(1986), Prologue : In Serch of History, the Pageant of World History(Allyn & Bacon. 13Whr)

[4] 힉소스의 주류가 가나안 출신으로 서부 셈어를 말하는 자들이라는 사실이 사이의 연계를 시사해주고 있다. 힉소스(Hyksos)라는 이름은외국 땅의 지배자ruler(s) of the foreign countries’라는 뜻의 이집트어(헤카 카수트heqa khsewet)에서 유래한 말로써, 기원전 3세기 이집트 사제 마네토Manetho 기록에 처음 등장한다. 그런데 이름의 원형 헤카 카수트는 힉소스 시대만이 아니라 전후의 시기에도 존재했음이 입증되었다. Hyksos - Ancient History Encyclopedia https://www.ancient.eu/Hyksos/ 2017. 2. 15. - The main source of information on the Hyksos in Egypt comes from the 3rd century BCE Egyptian writer Manetho whose work has been lost but ...

요셉의 탄생 설화와 비슷한 이야기가 기원전 13세기 쯤의 이집트(애굽) 세티(SETI) II 기록된 파피루스(D’ Orbiney)두형제 Anubis Bitis 이야기에서 다른형태의 전설로 전해지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5] 요하난 아하로니 외, The Carta Bible Atlas (아가페출판사, 2013, 서울)p28,29

 

 

 

 

 

■힉소스 15왕조, 하이집트(삼각주), 아바리스

■원native 이집트 16-17왕조, 상이집트 테베

 

ㅡKamose

카모세(Kamose)는 BC17기  상이집트 제17왕조의 마지막 파라오이다.

아마도 타오 2세아호텝의 아들이자, 18왕조의 창시자인 아흐모세 1세의 형이었다.

그의 지배기간을 끝으로 이집트 제2중간기도 끝이 난다.

 

14왕조의 띵 북이집트를 점령했던 카모세는 대략 5년 정도를 다스렸다.

그는 재위한 기간 동안 힉소스 출신의 하이집트 제15왕조와 경쟁하였다.

그의 아버지는 전투에 참가하지만 전투에서 목숨을 잃는다.

카모세 또한 그 전투에서 전사하였으며,

그의 어머니 아호텝은 카모세의 죽음 후에, 힉소스와 전투에 참가하였다.

 

ㅡStele of&nbsp; Kamose (기념석)

 

 

 

ㅡAhmose Nefertari as depicted in tomb TT359

그리고 그의 동생, 아흐모세(Ahmose) 1세가 힉소스를 물리치고 새 왕조를 열었다.

이집트 신왕국 제18왕조초대 파라오.

북부에서 쳐들어온 이방 민족인 힉소스인들을 마침내 격퇴,

제2중간기를 종결하고 고대 이집트의 최전성기인 신왕국을 열어젖힌 명군이었다.

아흐모세 1세는 테베를 중심으로 한 제17왕조의 왕자로 태어났다.

당시 이집트는 외부에서 쳐들어온 이민족 힉소스인들이

나일 강 삼각주의 하이집트를 지배하고 있었고,

이들에게 밀려난 이집트 원주민들이 세운 상이집트의 제17왕조가 이집트를 양분하고 있었다.

 

아흐모세 1세는 10살이라는 어린 나이에 왕위를 물려받은 후

치열한 공방 끝에 힉소스인들을 몰아내고 이집트를 재통일하면서 이집트 신왕국을 개창했다.

또한 광산을 개발하고 무역로도 뚫었으며,

중왕국 시절 이래 한번도 이루어지지 못했던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도 재가동했다.[3]

이처럼 많은 업적을 남겼기에 신왕국의 기반을 놓은 파라오로 평가받는다.

 

ㅡA Stele of Ahmose I&nbsp; (기념석)

 

 

 
Ka-mesu   kꜢ-ms(w)   "The bull is born"    (D170A-E1-ms-s-Z5)

②Ah-mose is an Ancient Egyptian name meaning "The Moon is born" or "Child of the M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