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나린푸실 이야기/신학 이야기

"예수는 카이사르였다"

Narin Pusil 2021. 4. 20. 07:06

<줄리어스 시저>와 <지저스 크라이스트>

 

 


-----------------------------------------------------------------------------------
○나는 '왔고', '보았고', '이겼다' 〓 BC 47년경에 - 시저(?)
○나는 '길' 이요 '진리' 요 '생명' 이다' 〓 AD 30년경에 - 예수(?)

-------------------------------------------------------------------------------------

1. via 길 →(로)→ vini 왔노라!
2. veritas 진리 →(를)→ vidi 보았노라!
3. vita 생명 →(을)→ vici 이겼노라!

그들 각각의 선언(선포)....

당시 헬레니즘 문화의 중심, 로마제국에서 유행하던

헬라적 라틴문학 수사기법의 문학적 표현 형태는 아니었을까?


https://cafe.daum.net/bgtopia/MeRA/68?svc=cafeapi.

 

1. via 길 (로) → vini 왔노라! 2. veritas 진리(를 )→ vidi 보았노라! 3. vita 생명(을) → vici 이겼노라!

혹시 그것은 그 옛날의 유행어가 아니었을까요 ....----------------------------------------------- 나는 '왔고', '보았고', '이겼다' 〓 BC 47년경에 - 시저)나는 '길' 이요 '진리' 요 '생명' 이다' 〓 AD 30년경에 -

cafe.daum.net

 

물론, 저만의 생각이고요, 그럴것 같다는 의구심만 있어 왔습니다. 오래전에, 강연차 시드니를 방문하셨던 오강남 교수께, "제가 라틴 문학도 헬라문학도 몰라 뭐라 말할수는 없지만, 그와 같은 생각이 드니 한번 알아봐 주셨으면 합니다." 라고 말씀 드렸는데 ... 아직까지 답이 없는 것을 보면 ... 아닌가 봅니다 .... ^^ ....

. "그분만이 .. 길이고, 진리고 생명" 이라는 말 ... 그 당시에 사회 체제및 윤리에 대한 반동으로 나온 문학적 수사기법은 아니었을까??


 

https://m.cafe.daum.net/bgtopia/NkwY/405?svc=cafeapp

 

■ 줄리어스 시저가, 예수(Jesus)의 문학적 모델이었다.

■ 줄리어스 시저가,예수(Jesus)의 문학적 모델이었다..1.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다 ... 시대적 문학적 유행 트랜드?》 1) via 길 (로) → vini 왔노라! 2) veritas 진리(를 )→ vidi 보았노라! 3) vita

m.cafe.daum.net

 



■ 그러던차에 수년전에 아래의 책이 있다는 사실을 지인을 통해 알게 되었습니다.

 


독일 국적의 Francesco Carotta (1946년 이탈리아 베네토에서 태어남)는 '기독교는 줄리어스 시저라는 인간의 문학적 구성에 바탕을 둔', "예수는 카이사르였다"라는 책을 펴냈습니다. 《Jesus was Caesar – On the Julian Origin of Christianity》

(1) Jesus was Caesar: On the Julian Origin of Christianity. An Investigative Report. Soesterberg: Aspekt, 2005 (revised), ISBN 90-5911-396-9 (English excerpts; German original).

(2) Was Jesus Caesar? – Artikel und Vorträge. Eine Suche nach dem römischen Ursprung des Christentums. Kiel: Ludwig, 2012, ISBN 978-3-937719-63-4



역사적 예수(Historical Jesus)가 줄리어스 시저(Julius Caesar)의 삶을 기반으로 재구성 되어 만들어 졌으며, 복음은 로마의 역사적 근원을 가지고 다시 쓰여졌고, 기독교가 Caesar의 신화적 숭배에서 나왔다는 이론으로 발전시킨 이탈리아 작가입니다. 하지만 그의 이론은  정통(전통?)신학 학계에서는 무시하고 있다고 합니다.


Francesco Carotta (born 1946 in Veneto, Italy) is an Italian writer who developed a theory that Julius Caesar was the historical Jesus, that the Gospel is a rewriting of Roman historical sources, and that Christianity developed from the cult of the deified Caesar. This theory is generally ignored in academic circles.


http://www.carotta.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