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나린푸실 이야기/역사(신화) 이야기

헝가리 세운 ‘마자르족’ 조상은 부여계 기마민족

Narin Pusil 2021. 4. 3. 08:20

 

마자르족의 동방 기원 이해를 위해 부여족·말갈족·고구려족과 흡사한 몇 가지 전통 민속을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① 부여 왕족 토템은 ‘사슴’이고, 주민 토템은 ‘새’였다. 마자르족 건국 설화에 사슴과 투룰(Turul, 독수리)이라는 새가 나오는데, 연관성이 현저하다. 국민들 사이에서는 말이 애호되었다.

② 마자르족의 반수혈(半竪穴) 가옥은 부여의 수혈 주거와 매우 유사하다.

③ 마자르족 주민의 7부족(Hétmagyar) 구성은 부여의 ‘예’계 말갈족의 7개 부족 구성과 같다.

④ 마자르족의 남·녀 복식과 고깔모자는 부여족의 복식과 고깔모자와 매우 유사하다.

⑤ 형이 사망하면 아우가 형수를 취하는 마자르족의 제도는 구려·고구려와 동일하다.

⑥ 마자르족의 민족음악 5음계는, 부여족 등 고조선 후예들의 민족음악 5음계와 동일하다.

⑦ 마자르족 언어는 아발족(우구르족) 언어와 가까운 친족 관계이다. 이것은 고조선 언어가 부여·아발어·말갈어·마자르어의 조어(祖語)이기 때문이다.

⑧ 마자르족의 장수들과 아르파드 족장의 군모에 새 깃털〔鳥羽〕을 꽂는 양식은 부여·고구려의 깃털 모자와 동일하다.

⑨ 마자르족의 전통 종교는 텡그리즘(Tengrism)으로 단군 신앙이다.

⑩ 마자르족의 신앙에 단군과 함께 태양과 불〔火〕에 이어 달을 숭배하는 전통은 부여족의 태양·달·불 숭배와 동일하다.


중앙선데이 2021.04.03 00:21

텡그리교(영어: Tengriism) 또는 텡그리 신앙샤머니즘, 정령 숭배, 다원주의, 조상 숭배를 특징으로 하는 중앙아시아의 전통 종교이다. 텡그리(고대 튀르크어: ????)는 "하늘"이라는 뜻을 갖고 있다. 고대 튀르크족, 몽골족, 흉노족, 훈족의 국가였던 돌궐 제국, 고대 대불가리아, 하자르 칸국,아바르 칸국, 불가리아 제1제국 등에서 숭배되었다.

튀르크계 국가들 및 옛 소련 지역{(러시아 타타르 공화국, 알타이 공화국)}에서 숭상되고 있으며 사하 공화국, 하카스인, 투바인시베리아에 있는 러시아 지역에서는 조직적인 부흥 운동이 이뤄지고 있다. 성균관대 사학과 김영하 교수 등 대한민국의 학자들은 단군을 Tangri, 텡그리를 단군의 어원으로 본다.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