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4, 신앙과 신학, 그리고 과정신학( Process theology

5. 과정신학(Process theology)- 2. 과정철학

Narin Pusil 2021. 2. 21. 18:10

 과정철학 (Process philosophy)

 

생성의 존재론, 과정주의[1]유기체 철학[2])

변화와 발전을 갖는 형이상학적 실재를 밝히는 사고이다. 

 

1.    이원론의 플라톤 이후 철학자들은 영원한 본질(permanent substance) 근거하여 참된 실재(true reality) 영원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그러하던 것이 영원한 본질이 거부되거나 종속되는 으로 보기 시작했다.  어떤 실재가 변화된다는 것을 부정해오던 고전존재론과정이론에 오히려 고전철학 사고가 부정되기 시작했다.

 

2. 헤라클레이토스의 개념에 착안한 철학자들은 존재의 물리학생성의 물리학구별했다.[3] 그런 개념에 의해  화이트헤드는 ‘고정 불변하는 실재(reality) 세상에 존재하지 않으며, 철학적 개념(또는 안목, 사변적)만으로 이해되는 우주는 진정한 우주가 아니다라고 한다.[4] 실재(reality) 과정(process)이라고 본다.[5] 

 

3. 그리고 프로세스 철학과 존재론, 프로세스주의, 또는 유기체 철학의 온톨로지형이상학적 실제(metaphysical reality) 변화로 식별한다. 프로세스(과정) 철학은 환상으로서의 파르메니데스가 주장한 변화의 고전적 모델에 반대하고 혹은 아리스토텔레스 주장과 같은 우발적 고전적 변화 모델과는 대조적으로 새로운 변화를, 생성되고 있는 현실의 초석으로 간주한다.[6]

 

2.    『과정과 실재』 에서  Whitehead에게 형이상학은, 세계의 성격에 대한 토론을 수행하기 위한, 사물들의 어떤 특정 측면에만 관심을 두고, 그 밖의 다른 것들은 무관한 것으로 도외시하지 않은 사변적, 총체적, 논리적 에 관한 것이다. 위에서 말했듯이 화이트헤드가 고대 그리스 이후 서양의 사유를 지배해온 불변의 기계적인 정태적 실재관을 거부하고 있음을 우리는 읽어낼 수 있다.

 

3.  현실적 존재의 구조가 경험의 과정, <생성> becoming 과정이라면, 그리고 현실세계가 궁극적으로 이와 같은 생성의 과정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라면, <생성> <존재>보다 기본적 바탕으로서의 범주가 될 것이다. 화이트헤드는 이를 <과정의 원리>로 정식화하고 있다. 현실적 존재는 그것의 생성과정에서 <살아있다>라는 과정이 종결될 , 즉 생성이 존재가 , 그것은 과거 속으로 소멸하고 새로운 생성의 과정에 의해 계승된다는 것이다.

 

4. 그래서 우주에는 현실적 존재의 생성과 이로부터 구성되는 현실 세계의 생성이 있다. 전자는 소우주적 과정이요 후자는 대우주적 과정이다. 그것은 진화와 윤리(Evolution and Ethics and Other Essey)에서 토마스 헉슬리(Thomas Henry Huxley)는 모든 생물은 생존경쟁을 통해 생명이 성장하고 사멸하는 순환과정을 되풀이 하는 우주의 순환 속에 존재한다는 진화론적인 주장을 했듯이,[7]각 개체는 스스로 사라지지만, 우주적인 차원에서는 순환한다라는 개념으로 필자도 인지하고 있다. 화이트헤드의 사변철학은 이 두 가지 과정을 분석하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고, 흔히 그의 철학을 <과정철학>이라 부르는 것도 바로 이런 의미에서이다.

 

5. 다음으로 현실적 존재들이 경험의 계기에서 유추된 것이라는 점은 이들 존재가 상호의존하는 임을 시사한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타자를 경험하는 가운데 주체로서 존립하거나, 타자의 경험을 구성하는 객체로서 존립할 수 있을 뿐이기 때문이다. 그것들은 타자와의 관계를 떠나서는 존립할 수 없다. 이것은 유기적인 관계성에서 오는 <상대성 원리>이다. 임의의 현실적 존재에 있어 다른 존재들과의 관계는 본질적인 것이며 외적인 것이 아니다. 그리고 이처럼 세계를 구성하는 궁극적 존재들을 근본적으로 상호의존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는 점에서 화이트헤드는 자신의 철학을 <유기체(organism) 철학>이라 부른다

 

     ※창의력(Creativity)실제 개체, 새로운 실제 개체(a New Actual Entity)

         여러 실제 개체의 존재를 허용하는 세상의 보여주는 Whitehead 만든 용어입니다.

6. 물질보다는 과정에 호소하는 철학자들은 위에서 말한 Heraclitus와 Karl Marx,[8] Friedrich Nietzsche, Henri Bergson, Martin Heidegger, Charles Sanders Peirce, William James, Alfred North Whitehead, Alfred Korzybski, RG Collingwood, Alan Watts, Robert M. Pirsig , Roberto Mangabeira Unger, Charles Hartshorne, Arran Gare, Nicholas Rescher, Colin Wilson, Jacques Derrida 및 Gilles Deleuze등이 있습니다.

 

5. 물리학에서 Ilya Prigogine[9]은 "physics of being(존재의 물리학)"와 "physics of becoming(생성의 물리학)"를 구별합니다. 프로세스 철학은 과학적 직관과 경험뿐만 아니라 종교, 철학과학 간의 토론을 촉진하는 개념적 연결고리(conceptual bridge) 사용될 수 있습니다.[10]

 

6.    프로세스 철학은 종종 분석 철학보다 대륙 철학에 더 가까운 것으로 분류되는데, 이는 대개 대륙 부서에서만 가르치기 때문이다.[11] 그러나 다른 출처들은 현대 철학에서 분석 철학과 대륙법 사이의 중간에 프로세스 철학을 배치해야한다고 언급했다.[12] [13]

 


[1] Nicholas Rescher, Process Metaphysics: An Introduction to Process Philosophy, SUNY Press, 1996, p. 60.

[2] Emmet, Dorothy Mary, 1932, Whitehead's Philosophy of Organism, London: Macmillan; 2nd edn, 1966.

[3]  Anne Fagot-Largeau,  at the Collège of France, first part of a series of courses on the "Ontology of Becoming"

[4] http://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89358

[5] http://theology.co.kr/article/basic-concept.html

[6]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시대 이래로 일부 철학자들은 영원한 물질을 기반으로 진정한 현실을 "영원한"것으로 제시해 왔으며, 과정은 시대를 초월한 물질에 종속되거나 종속되지 않습니다. 소크라테스가 변하고 병이 나더라도 소크라테스는 여전히 동일하며 (소크라테스의 물질은 동일 ) 변함 (그의 ) 그의 물질에 대해서만 미끄러집니다. 변화는 우연한 반면, 물질은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고전적인 온톨로지는 변화에 대한 모든 현실을 부인하며, 우발적이며 필수적인 것은 아닙니다. 고전적인 온톨로지는 지식과 지식의 이론을 가능하게하는데, 이는 무언가에 대한 과학이 달성하기가 불가능한 업적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7] Thomas Henry Huxley, Evolution and Ethics and Other Essey(Angus & Robertson

Booktopia.com.au, Dymocks, Fishpond.com.au  2012)

[8] Marx and Whitehead: Process, Dialectics, and the Critique of Capitalism

[9] Ilya Prigogine, From being to becoming, W. H. Freeman and Company, San Francisco, 1980.

[10] Cf. Michel Weber (ed.), After Whitehead: Rescher on Process Metaphysics, Frankfurt / Paris / Lancaster, Ontos Verlag, 2004.

[11] William Blattner, "Some Thoughts About "Continental" and "Analytic" Philosophy"

[12] Seibt, Johanna. "Process Philosophy". In Zalta, Edward N. (ed.).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13] Seibt, Johanna. "Process Philosophy". In Zalta, Edward N. (ed.).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