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Erasmus 2

8. Erasmus & Luther(에라스무스와 루터)

에라스무스에 대한, 루터의 불손(不遜)한 말씨(言辭). 에라스므스나 마틴 루터 공히 교회를 개혁하고자 했다. 그러나 그들이 원하는 개혁에 있어 적용되어야 할 시대적 세계관에 따른 방법론에 서로의 생각의 차이가 있었다. 16세기 로만카톨릭에 대한 교회개혁에 있어 로테르담의 에라스므스와 비텐베르크의 마틴 루터, 그들의 자세와 역할을 대조하여 비교해 본다. ※ 단락마다, 제임스강의 에세이Essey에 대한 Lecturer의 질(문)과 제임스강의 (답)변이 있다. 1. 에라스무스의 저서들을 연구하던 루터는, 95개조 반박문을 발표할 당시에 에라스무스의 지지를 얻기 위해 직접 편지들을 여러번 보냈다. 그러나 그 편지들에 담긴 루터의 생각에 대해 에라스무스는, 휴머니즘 그 자체와 그에 따른 학문의 부흥 그리고 그가 ..

2. 종교의 광기와 맞서 싸운 인문주의자, 에라스무스 -1

이런 시기에 태어나 역사에 한획을 그었던 인물중 빼어난 인문학자가 있었다. 그가 바로 에라스무스(Desiderius Erasmus, 1469(6)~1536. 7. 12, 스위스 바젤에서 사망)이다. . 1. 그는 1469년 10월 27일에 네덜란드 항구도시 로테르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게리트 (Roger Gerard)는 ‘하우다’의 사제였으며, 어머니는 제벤버겐'의 의사의 딸 마하레타(Margaret)였다. 에라스무스라고 하는 그의 세례명은 그의 아버지의 이름인 게리트가 ‘사랑받는자’라는 뜻으로 이를 희랍어로 표현하면 ‘에라스무스’가 되고 라틴어로 표현하면 ‘데시데리우스’가 된다. 2. 베네룩스-삼국이 통합될때까지 아직 도시국가들로 구성되었던, 하지만 항구의 발달로 여러문화를 접할 수 있었던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