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파라오 3

6. 이집트 중심의 출애굽 배경 -1. 신왕국의 파라오

ㅡ3번의 중간기(지방분권시기) 지역 신(라 - 헬리오폴리스 - 제5왕조 ) & 아문(테베=룩소르), 아문-라 =17- 18왕조 절정 6. 이집트 중심의 출애굽 배경 ① 신왕국의 파라오 필자는 후기연대설을 따라 에세이 내용을 전개한다. William F. lbright, B.H. Anderson 추론에 의한 가설에 동감이 가기 때문이다. [1] A’ [2] #투투모세, #람세스 1인의 파라오가 이집트를 40년 이상 다스린 파라오는 2명이다. 이집트 신왕국의 투트모세 3세와 대략 150년후의 60년간을 통치한 람세스 2세(B.C.1303-1213)이다 1. 투트모세 3세(B.C.1481~1425) 투트모세 3세와 함께 등장하는 하트셉수트(Hatshepsut,B.C.1508년-1458년) 조카 투트모세 3세가..

5-2. 고대 이집트

5.2 고대 이집트 출애굽 배경을 알기 위해 그 중심에 있는 이집트의 역사적 상황에 대해서 알아 보고자 한다.   1. BC 3000년경, 이집트의 神 오시리스와 이시스의 아들-신(神)인 호루스의 화신(化神)으로 불리우게 되는 나르메르(Narmer)라고도 하는 메네스(MENES)에 의해 상-하 이집트를 통합한 최초의 통일국가가 나타났고, 그때 그는 파라오로 불리우며 신(神)의 화신>, 곧 신(神)이 된다.  2. 제4왕조대부터 나일강의 범람으로 3-4개월간의 사회간접 조성이라는 피라미드 건설이 시작되어 파라오-쿠푸때 대大-피라미드를 세웠다.  3. 12왕조때에는 이미 아모리(갈대아인,UR of the Chaldeans) 상인들로 하여금 고센 삼각주 지역에 식민지를 건설하도록 권장 하였다. 오래지 않아  ..

"모세야 ~ 신발을 벗어라 ~~" (#나르메르, #이집트통일왕국)

■《나르메르 팔레트》 ▪︎이집트의 통일을 상징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1898년 히에라콘폴리스에서 출토되었다. ▪︎높이는 64cm이다. 카이로에 있는 이집트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신분에 따라 인물의 크기가 다르게 묘사되었다. □앞면에 상이집트의 백관을 쓴 나르메르 왕이 하이집트의 파필스를 정복하는 모습이 나와있다. □뒷면에는 하이집트의 홍관을 쓴 나르메르 왕이 전과를 점검하는 모습이 나와있다. 앞면을 확대 《'나르메르의 파레트' 앞면》 °°°파라오 신발 ... 시종관이 들고 있다. 1. 중앙에 새겨진 파라오의 좌측에는 상대적으로 작게 그려진 한 인물이 파라오의 등 뒤에서 신발을 들고 서 있다. ‘파라오의 신발 운반자’라는 호칭이 이후 이집트 문명기 내내 파라오의 최측근에게 주어지던 칭호였음을 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