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타나크 2

◎뱀과 지팡이 신화(The Myth of the Snake and the Moses' Staff) 모세5경(Tora)과 유대경전(Tanakh : 구약)은 문학작품이다.

■존재하지도 않는, 상상을 (즉, 부존재를) 믿는, 인간의 종교성. ㅡ 유발 하라리, "호모사피엔스" ■모세5경(Tora), 유대경전(Tanakh구약)은 문학작품이다. ■텔아비브 대학의 고고학자인 핀켈슈타인(Israel Finkelstein)은, 아브라함의 존재를 역사적으로 확인하려는 모든 시도는 실패했다고 말하며, 유대경전(구약)은 오리엔트 여러 민족 간의 신화와 전설들을 각색하여 편집된 책이라고 단정한다. ‘그리스 신화’나 ‘유대교 창세 신화’는 대개가 그 당시 전해 내려오던 수메르, 이집트, 바빌로니아의 신화들을 차용하고 있는 것이 명백하다는 것이다. 이제 성서는 더 이상 신의 영감에 의해 쓰여진 일점일획도 오류가 없는 신비의 책이라고 주장할 일이 아니라는 말이기도 하다. 유대인들이 수집하고 편집하..

7-1 가나안 정착 스토리에 들어가기 전에 .....

7-1. 가나안 정착 이야기 들어가기에 앞서 ■출애굽을 논하기 앞서 에서 잠깐 언급했다시피, 필자는 가나안 정복이라는 드라마틱한 이야기를 논하기 앞서, 성경이라는 바이블의 실체 특히, 그 기록에 대한 독자는 누구였을까? .. 를 생각하며 우선 당시 상황을 파악하고 에세이를 진행하고자 한다. 그래야만 사실의 실체에 가깝게 접근할 수 있으리라 보기때문이다. 1. 이스라엘이라고 하면 출애굽의 엑소더스나 디아스포라가 상기되는 민족으로 2천년전 강대국에게 정복당하는 유랑 민족으로 인식되지만, 앞서 전개한 내용대로 힉소스의 고대 이스라엘인들은 기록으로만 보아도 남의 땅을 빼앗는 적극적인 침략을 통해 첫 국가를 건설을 시작했다. 타나크의 율법서 토라에서는 모세와 여호수아가 이끄는 이스라엘인들이 이집트에서 도망친 것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