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유대경전 2

◎뱀과 지팡이 신화(The Myth of the Snake and the Moses' Staff) 모세5경(Tora)과 유대경전(Tanakh : 구약)은 문학작품이다.

■존재하지도 않는, 상상을 (즉, 부존재를) 믿는, 인간의 종교성. ㅡ 유발 하라리, "호모사피엔스" ■모세5경(Tora), 유대경전(Tanakh구약)은 문학작품이다. ■텔아비브 대학의 고고학자인 핀켈슈타인(Israel Finkelstein)은, 아브라함의 존재를 역사적으로 확인하려는 모든 시도는 실패했다고 말하며, 유대경전(구약)은 오리엔트 여러 민족 간의 신화와 전설들을 각색하여 편집된 책이라고 단정한다. ‘그리스 신화’나 ‘유대교 창세 신화’는 대개가 그 당시 전해 내려오던 수메르, 이집트, 바빌로니아의 신화들을 차용하고 있는 것이 명백하다는 것이다. 이제 성서는 더 이상 신의 영감에 의해 쓰여진 일점일획도 오류가 없는 신비의 책이라고 주장할 일이 아니라는 말이기도 하다. 유대인들이 수집하고 편집하..

■성서고고학(핑켈스타인과 아브라함)

아브라함의 존재 확인은 실패 유대인·이스라엘, 그 발명된 신화들 1338호 성서가, 고고학 시험을 본다면 낙제점 고고학을 바탕으로 한 ‘맥시멀리스트’와 ‘미니멀리스트’ 논쟁, 핑켈스타인은 성서는 ‘남유다 왕국 말기의 프로파간다’ 주장 정의길 수정 2020-11-15 11:15 2006년 8월 이스라엘 예루살렘 인근 고대 유적지에서 학생들과 자원봉사자들이 고고학 발굴 작업을 하고 있다. REUTERS “발굴된 것들에서 내가 이해하기로는, 거대한 영토를 통치하는 위대한 통일왕국에 대한 여하한 증거는 없다. 다윗왕의 예루살렘은 당시 빈촌에 불과했다.” 2000년 7월 미국 일간 ‘역사로서의 성서, 새로운 고고학적 시험에서 낙제’라는 제목의 기사는 이스라엘 메기도(성서의 아마겟돈)에서 고고학 발굴을 수행한 텔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