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앗시리아 3

③ [고대 문명의 세계와 성서 II] 앗시리아, 신 바빌로니아

고대 문명의 세계와 성서 II 17 / 03 / 2022 신바빌로니아 문명과 성서의 세계 문자의 발명 앞서 수메르 문명을 통해서 살펴보았지만, 문자의 초기 등장은 인류가 농경문화를 시작하며, 잉여 생산물들이 생겨나고 물물교환이 이루어지기 시작할 때, 물건의 종류와 양을 기록하며, 상거래를 위한 수단으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인류는 물건의 기록과 상거래의 계약 등을 위해 부드러운 진흙으로 빚은 점토판(타블렛)에 숫자와 그림 부호를 그려 넣었다. 이것이 마침내 발전하여 음절을 표시하는 상징적 기호가 생겨났고, 기록된 문자의 힘과 융통성은 나날이 발전해 갔다. 초기의 설형문자나 상형문자의 문자체계는 상당히 복잡하고 어려웠다. 너무나도 복잡했던 문자 체계 때문에 이집트에서는 전문 서기관만이 글을 사용할 수 있었다..

② [고대 문명의 세계와 성서 - I ] 고 바빌로니아와 앗시리아와 성서의 세계

고 바빌로니아와 앗시리아와 성서의 세계 (주경식, 17 / 02 / 2022) ■인문학의 한 지류인 역사를 찾아서 로마의 지성 키케로(BC 106-43)는 기원전 5세기에 『역사』를 기록한 헤로도토스(BC 484-425?) 를 역사의 아버지라 불렀다. 헤로도토스는 『역사』를 집필한 목적을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이 글은 할리카르나소스 출신 헤로도토스가 제출하는 탐사 보고서이다. 그 목적은 인간들의 행적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망각되고 그리스인들과 비-그리스인들의 위대하고도 놀라운 업적들이 사라지는 것을 막고 무엇보다도 서로 전쟁을 하게 된 원인을 밝히는 데 있다." 고대사회는 전쟁이 빈번한 시대였다. 그리고 그 전쟁들은 전쟁에 참여한 개인을 넘어서 국가의 흥망성쇠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