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신학 2

#신앙, #종교, #신학, #철학, #기독교철학

■믿음의 원천이라는 믿음을 믿는데서 출발하는 신앙, 그리고 그 신앙이 system화 된 것이 종교다. 신학은 그것을 옹호하고 방어하기위해 믿음에서 출발하여, 작가적상상력을 바탕으로 추론하여 논리화 시킨것이다. (JK) ■은 일반적으로 특정 신앙 체계의 맥락 내에서 《신앙과 종교》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은 《현실과 지식의 본질》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보다 일반적인 탐구이며 더 넓은 범위를 포괄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종교적인 주제를 넘어선다. (JK) ■신학과 기독교 철학은 서로 관련된 연구 분야이지만 서로 다른 초점과 접근 방식을 가지고 있다. (사상가 배출) 신학과 기독교 철학은 모두 기독교 신앙과 개념에 대한 조사를 포함하지만, ▪︎신학은 주로 기독교 내의 신앙과 종교적 《교리》의 문..

◑성서(Bible)는 <문학작품>이고, 신학(Theology)은 <성서문학(biblical literature) 해설서>다.

■신학이 인간학이라구요? (Can theology be the science of human?) ■곽 신부님 강의 잘 들었습니다. ■기독교 철학인 신학(Theology)은 신비한 신화적인 내용이 포함된 헬레니즘의 영향을 받은 기독교 문학과 헤브라이즘의 유대문학의 해석학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그 대상이 되는 성서(Bible) 역시, 문학작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카톨릭 신학자로서 곽승룡 선생님 뿐만 아니라, 개신교 목회자인 홍길복, 주경식, 임운규 선생님 그리고 인문학을 사랑하는 이곳 학우 여러분께 드리는 공통적 질문입니다. ▶카톨릭 강의 모두에 곽승룡 선생님은, 신학은 학문이라고 하셨습니다. 거기에다 신학적으로 다루는 인간학이라고 하셨지요. ▶그런데 오래전에 쓰여진 라는 것은, 어떤 의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