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바빌론 3

■성서고고학(핑켈스타인과 아브라함)

아브라함의 존재 확인은 실패 유대인·이스라엘, 그 발명된 신화들 1338호 성서가, 고고학 시험을 본다면 낙제점 고고학을 바탕으로 한 ‘맥시멀리스트’와 ‘미니멀리스트’ 논쟁, 핑켈스타인은 성서는 ‘남유다 왕국 말기의 프로파간다’ 주장 정의길 수정 2020-11-15 11:15 2006년 8월 이스라엘 예루살렘 인근 고대 유적지에서 학생들과 자원봉사자들이 고고학 발굴 작업을 하고 있다. REUTERS “발굴된 것들에서 내가 이해하기로는, 거대한 영토를 통치하는 위대한 통일왕국에 대한 여하한 증거는 없다. 다윗왕의 예루살렘은 당시 빈촌에 불과했다.” 2000년 7월 미국 일간 ‘역사로서의 성서, 새로운 고고학적 시험에서 낙제’라는 제목의 기사는 이스라엘 메기도(성서의 아마겟돈)에서 고고학 발굴을 수행한 텔아..

◎하나님을 보는 예레미아와 예수의 관점의 차이

"너희를 두고 계획하고 있는 일들은 오직 나만이 알고 있다. 내가 너희를 두고 계획하고 있는 일들은 재앙이 아니라 번영이다. 너희에게 미래에 대한 희망을 주려는 것이다. 나 주의 말이다. " (예레미야 29장11절) ■예레미야는, 당시 상층부 지배자들에 야훼를 내세워 대항하여 보았지만, 결국 바빌론에 망해서 상층부들이 바빌론으로 끌려가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그 덕분에 당시 문화의 중심지 바빌론에서 학문의 지평을 넓혀 "(바빌론)탈무드"를 만들고, 훗날 바빌론에서 돌아와 에스라등의 유대학자들이 *타나크를 비롯한 오늘날의 구약을 집필하게 되었습니다. *타나크(히브리어: תנ"ך Tanakh, Hebrew Bible)는 유대교의 경전으로, 기독교의 구약 성경이 이에 해당한다. 중립적 용어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