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나린푸실 이야기

■죽음과 실존(Death and Existence)

Narin Pusil 2022. 8. 5. 11:11

 

"두비토, 에르고 코기토, 에르고 숨"

dubito, ergo cogito, ergo sum

  나는 의심한다. 그러므로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 

  “ I doubt it. Therefore I think. Therefore, I exist.”

 

지난날의 삶의 주제인 신(god)으로 부터, 인간으로 바뀌게 된 단초를 제공해 준, 데카르트(René Descartes [ʁəne dekaʁt)의 혁명적인 깨달음이었다.  who provided the starting point from 'God', the subject of the past, to 'human',

   It was Descartes' revolutionary enlightenment and realization.     

 

 

■데카르트보다 1900년전에 살았던, 사모스의 현자 에피쿠로스는 다음과 같은 말을 남겼습니다.

"우리가 존재하는 한 죽음은 여기에 없고, 죽음이 오면 더 이상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죽음이 우리와 관련이 없다" 라고 에피쿠로스(Epicurus)는 말했습니다.

Epicurus, the sage of Samos, who lived 1900 years before Descartes, left the following words.

"What does death does not concern us because as long as we exist death is not here and when it does come we no longer exist mean?"  ㅡEpicurus Quotes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l'existence précède l'essence)" 

           Existence precedes Essence. 장 폴 사르트르(Jean-Paul Sartre, 1905 ~ 1980)


에피쿠로스는 영혼이 신체의 물리적 부분이라고 믿었습니다. 우리가 죽으면 영혼은 단순히 또 절대적인 비존재(非存在) 즉, 무(無)로 사라집니다. 유(有, 存在)와의 관련성, 상대성을 끊어내는 것이로 불교의 연기성도 끊어지게 되므로 힌두교의 윤회라는 것은 없게 되는 것이고, 또 이것은 영혼이 다른 존재 영역(천국 또는 지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서 죽음은 우리와 관련이 없습니다. 우리가 존재하는 한 죽음은 여기에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오면, 우리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Epicurus believed that the soul was a physical part of the body. When we die, the soul simply and absolutely disappears into non-existence, that is, non-existence. By severing the relativity of existence, Buddhism's dependent arising theory is also cut off, so there is no Hindu reincarnation, and this means that the soul does not move to another realm of existence (heaven or hell).

So, Death does not concern us, because as long as we exist, death is not here. And when it does come, we no longer exist. ㅡEpicur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