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나린푸실 이야기/철학 이야기

도올 주역 강해

Narin Pusil 2022. 7. 25. 21:33

주역(周易) 교역(交易, Change, convert)

 

서주 시대의 점(占)에 대해 서술한 책이다. 원제는 단순히 역(易)이다. 후에 경전을 의미하는 경(經)을 붙여, 64괘의 '역경(易經)'으로 부르기도 한다.영어로는 I Ching(이칭) 이라고 하는 데, '역경(易經)'의 보통화 발음은 '이징(Yìjīng)'에서 나온 말이다. 또는 의역하여 The Book of Changes라고도 한다. 서죽(筮竹)을 조작하여 남은 수가 홀수일 때는 양(陽) 즉(-), 짝수일 때는 음(陰) 즉 (--)이라 하여, 그것을 세 번 반복하여 괘(卦)의 상(象)을 얻는다. 역경의 괘는 우주에 존재하는 현상을 말한다. 괘는 '걸다'라는 의미며, 어떠한 현상이 눈앞에 걸려 있다는 뜻이다. 사물이 형상으로 드러나듯이, 부호로 사물을 드러내는 것이 괘이며, 이는 수많은 사물의 근원적인 형상이 된다.

 

 

괘(卦)를 이루는 효에는 음효(陰爻, --)와 양효(陽爻, ─)가 있다. 음효와 양효 3개가 모여서 구성된 괘를 소성괘(小成卦)라 하는데 복희팔괘(伏羲八卦)가 그것이고, 6개가 모여서 구성된 괘를 대성괘(大成卦)라 하는데 『주역』의 64괘가 그것이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육효(六爻))   운명의 연속과 단절이 바로 양효와 음효의 기원이라고 생각한다. 양효는 지금까지 이어지던 운명이 그 흐름대로 지속되는 것이고, 음효는 그것이 단절되는 것이다. 『주역』은 기본적으로 양은 행복, 음은 불행과 연결되지만 그 반대의 경우도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양효와 음효의 상징은 분명해진다. 양효는 기본적으로 좋은 운명이 지속되는 것을 나타내지만 경우에 따라 건괘 육효처럼 나쁜 운명이 지속되는 것을 나타낸다. 음효는 기본적으로 좋은 운명이 끊어지는 것을 나타내지만 호괘互卦의 운영에서 보이듯 경우에 따라 나쁜 운명이 끊어지는 것을 나타내기도 한다.

 

 

주역 이전에도 하나라의 연산역(蓮山易), 상나라의 귀장역(歸葬易)이 있었다고 하나 모두 실전되고 주나라 문왕이 괘사를 짓고 그 아들 주공이 완성시켜 이름을 붙인 주역만이 남아서 전해지고 있다. 공자는 주역의 중요함을 알고 죽간을 엮은 가죽끈이 세 번이나 낡아 끊어지도록 봤다고 한다.

 

공자 사후에는 점술책으로 여겨져서 진시황의 분서갱유를 피했고 한(漢)나라 이후 점술책이 아니라 유교 경전으로써 그 가치가 인정되어 오경 중 으뜸이 되었다는 말도 있으나, 실제로는 분서갱유 당시 주역 역시 유교 경전으로 취급받아 같이 불탔고, 한나라 시절에 복원하게 된다.

 

태극은 원(空)이고, 그 안에 음과 양이 채워져 있다.

라이프니츠가 주역에서 얻은 이진법 체계, 주역 풀이에도 이진법이 사용됩니다.

 

 

세상을 변화 시키는 변하지 않는 기본법칙과 함께 삶의 여러 변화들의 통계적 확률의 수치에 의해 일어 날 수 있는  64괘 * 6 = 384효의 흔히 있는 통례(通例) 있을 수 있는 상례(常例)를 제시하고, 거기에 맞춰 앞으로의 일들을 예상해 보는 책이라고 필자는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