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나린푸실 이야기/신학 이야기

존 힉스(John Hicks)의 후학에서, 알리스타 맥그라스(Alister E. McGrath)가 나왔다.

Narin Pusil 2022. 7. 5. 23:04

ㅡ "6" 이 라는 숫자를 둘중,  하나는 "9"라고 우기는 것이리라 .......

 

■ 죽음 이후 생존, 즉 영생에 대하여,

    과학적이고 철학적인 반대는 도전할 수 있다고 존 힉스(John Hicks)는 말한다.    그의 후학에서 알리스타 맥그라스(Alister E. McGrath)가 나왔다 ...

 

   


 https://m.facebook.com/story.php?story_fbid=3467374179968176&id=100000868853532&sfnsn=mo

 

Facebook에 로그인

Notice 계속하려면 로그인해주세요.

www.facebook.com

 

 


.

■종교철학자 존 힉의 "종교철학" (동문선 간행, 철학)

 

[종교철학자 존 힉의] 종교철학 (동문선 간행, 철학)

존 H. 힉은 그의 폭넓고 깊은 연구를 통하여 종교철학뿐만 아니라 조직신학 분야에도 많은 공헌을 한 뛰어...

blog.naver.com

 

존 하우드 힉(John Harwood Hick, 1922 – 2012)

 

     영국 태생의 종교 철학자이자 신학자로서 경력의 대부분을 미국에서 가르쳤습니다. 철학 신학에서는 신정론, 종말론, 기독론 분야에서 공헌했고, 종교철학에서는 종교 인식론과 종교 다원주의 분야에 공헌했다.  로버트 스미드(Robert Smid, Associate Professor of Philosophy and Religious Studies at Curry College, USA.)는 힉이 "20세기의 가장 중요한 종교 철학자 중 한 명"이라고 정기적으로 언급하고 있습니다.  Keith Ward(English philosopher, and theologian. He is a fellow of the British Academy and a priest of the Church of England)는 한때 그를 "세계 종교의 가장 위대한 살아있는 철학자"로 묘사했습니다.

 

     그는 종교적 다원주의를 옹호하는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이는 그가 어렸을 때 가지고 있던 전통적인 기독교 가르침과 근본적으로 다릅니다. 아마도 종교간 그룹에 대한 그의 심도있는 관여와 그러한 그룹을 통한 비기독교 신앙의 사람들과의 상호 작용 때문에 Hick은 다원주의적 관점의 신학자로 자리매김을 했습니다..     

 

 

앨리스터 맥그래스(Alister McGrath, 1953 - )

 

북아일랜드의 성공회 사제이자 기독교의 신학자이다. 알리스터 맥그래스라고도 한다. 영국에서 조직신학과 역사신학, 과학과 종교의 관계, 변증학 분야에서 많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대표적으로 종교개혁 사상과 하느님의 칭의가 잘 알려진 저서이다. (1953 -   , 69세),  

 

 

 

 

'나린푸실 이야기 > 신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전이란?  (0) 2022.08.27
​프랑스 위그노 이야기  (1) 2022.08.26
기독교 종파  (0) 2022.06.16
조지칼린  (0) 2022.06.12
신약성서신학 / W. G. 큄멜  (0) 2022.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