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나린푸실 이야기/신학 이야기

■읽고 쓸줄 모르는 사람들이 태반이었던 시대의 소위 "문맹자들의 성서"란, .... 도상학자(iconologist) 앙드레 그라바(andré grabar)가 말하는 바로 기독교 미술품입니다. #그림책_신학

Narin Pusil 2022. 1. 19. 09:23

■문맹자들의 성서

 

1. 읽고 쓸줄 모르는 사람들이 태반이었던 시대의 소위 "문맹자들의 성서" (<== iconologist도상학자: 앙드레 그라바: andré grabar)가 바로 기독교 미술품입니다.

(아이코노그래피 또는 도상학은 기독교와 불교 등 제 종교의 조각이나 그림에 나타난 여러 요소의 종교적 내용을 밝히는 학문으로 정의되기도 한다.)

2. 그것들은 성서연구없이 어떤 권위자의 생각이나 전승 또는 유언비어등을 소재로 만들어 진것이지요

3. 그것들에 의해 유추 혹은 상상속에 이야기들이 또 만들어지게 됩니다.
4. 점점 더 예수 가르침과 다른 이야기들이 탄생합니다.적어도 성서신학이 시작된 19세기말까지믐 말이죠.


 

 

 


■소위 복음서 라고 하는 것은,  드라마(Drama) 라는 장르(genre)다.  (JK)

    What is called the Gospel is a Genre called "Drama".

 

 

ㅡ3세기에 그려진 선한 목자 그리스도의 오른쪽에 수탉(마태복음 26:75, 마가복음 14:72, 누가복음 22:61)이 있는 무덤 그림, '앙드레 그라바르'(Grabar) 연구서에서....


1. 그리이스 학술탐사 여행중에 산 중턱에 있는 Drama라는 마을을 지났다.

    삶과 죽음을 윤색하여 사람들이 잘 이해하도록

    대사와 상황을 그곳에서 작업한 것을 그래서 '드라마'라고 했다.

    During the college excursion (Academic Research) to Greece, I was passing through a village, which is located in the mountainside. That's why it was called 'Drama', in which sombody worked with dialogues and situations to help people understand life and death.


2. 당시의 교육 및 사회 시스템 때문이겠지만

   글을 알지 못하는 문맹이 대부분이기에

   사람들에게 접근해 간 방법이 그 당시에 Drama였다.

    Drama was 'the Way' of approaching people at that time the reason why almost all ordinary people were unaware of writing and reading.(=illiterates).


3. 그와같이 '마가복음'과 'Q자료'를 근거로

   거기에 상황을 덧 입힌것이, 누가복음, 마태복음 등등..

  (당시에는 복음서 형태의 드리마 작품들이 많이 있었다. '예수 어록복음'인 도마복음과는 다른 외경, 위경처럼) ..

   모두가 역시 당시에 드라마로 표현된 문학적 형태였던 것이다.

    It was the literary form in which all of the Luke, Matth ew etc .. (At that time, there were a lot of drama works in the form of the Gospels, like apocrypha, Pseudographia unlike Jesus Saying Gospel-the fifth gospel, Thomas) .. that were added to the situation on the basis of 'Mark' and 'Q' materials were also expressed in drama at that time.

 

 

https://blog.daum.net/james_kang_2019/607

 

문맹자 시대의 성서와 드라마 (The Age of Illiteracy and Drama)

호머의 일리아스 오딧세이 등등과 그리고 소위, 복음서-모세오경이라 불리우는 성서도 DRAMA 대본이다. "모든 시적 표현은, ①언어의 빈곤성과, 그럼에도 ②설명하고 이해시켜야 할 필요성 이라

blog.daum.net

 

 

 

4. 기독교 미술사

기독교 그림들은 <문맹자의 성서 (그림책 신학)>다.

성서를 그림으로 이해시켰다.
문맹인 중세 기독교인들은 성경 낭독을 듣고,

성직자들이 다시 들려주는 가르침과 이야기를 듣고,

예술에 묘사된 것을 보며 성경의 내용을 구두로 배웠습니다.

물론 이것은 종종 모호하고 왜곡된 이해를 초래했습니다.



Christian Art History
Christian paintings are . The Bible was understood through pictures.

 


The Illiterate's Bible
How did the illiterate people read the Bible? Thus, illiterate medieval Christians learned the contents of the Bible orally, by hearing the Bib le read, hearing its teachings and stories retold by priests, and see ing them depicted in art. Often, of course, this resulted in vague and garbled understandings.


■읽고 쓸줄 모르는 사람들이 태반이었던 시대의 소위 "문맹자들의 성서"란,

.... 도상학자(iconologist) *앙드레 그라바(andré grabar)가 말하는 바로 기독교 미술품입니다.

■The so-called 'The Bible of Illiteracy' in an era when most people could neither read nor write.... Andre Gravar, the iconographer, said it was a work of Christian art.

 

ㅡ*Andr&eacute; Nicolaevitch Grabar(1896-1990)는,&nbsp; 로마네스크 예술과 동로마 제국과 불가리아 제국의 예술의 역사가였습니다. 우크라이나에서 태어나 키예프, 상트 페테르부르크, 오데사에서 교육을받은 그는 불가리아, 프랑스, ​​미국에서 경력을 쌓았으며 모든 논문을 프랑스어로 썼습니다.

 



성서가 말하는 '문맹'('Illiterate' in the Bible),

▪︎이사야서 29:12
그러면 글을 읽지 못한 사람에게 책을 주고

“이 책을 읽으십시오.” 라고 합니다.

그리고 그는 "나는 읽을 수 없습니다." 라고 말할 것입니다.

 

▪︎Isaiah 29:12
Then the book will be given to the one who is illiterate, saying, “Please read this.” And he will say, “I cannot read.”



▪︎사도행전4:13
그들이 베드로와 요한을 그토록 두려움 없이 대담하게 보았고

또한 그들이 문맹이고 학교에서 훈련을 받지 않은 사람임을 발견했을 때

그들은 놀랐습니다. 이제 그들은 그들이 예수와 함께 있었던 줄로 알았다.

▪︎Acts 4:13
As they looked on Peter and John so fearlessly outspoken--and also discovered that they were illiterate persons, untrained in the schools--they were surprised; and now they recognized them as having been with Jesus

 



https://m.cafe.daum.net/bgtopia/NkwY/425?svc=cafeapp

 

■문맹자의 성서(그림책 신학)

■문맹자의 성서(그림책 신학)1. 신의 증명과 같은 어려운 신학적 문제는 신학을 했다는 지들도 모른다는 것이다. 다만 주관적인 자신의 느낌을 말하고 있을 뿐이다.2. 그런 그들이 일반인들에게

m.cafe.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