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나린푸실 이야기/신학 이야기

카톨릭 종교권력 하이어라키 강화,

Narin Pusil 2021. 10. 8. 17:41

451년 10월 8일, 

칼케돈 공의회 (Council of Chalcedon)

카톨릭 종교권력 하이어라키(hierachy) 강화,


칼케돈 공의회 (Council of Chalcedon)451년 10월 8일부터 11월 1일까지

소아시아(현재의 터키)비티니아의 도시 칼케돈에서 열렸던 기독교의 공의회이다.

 


당시 공의회에서는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은 분리되지 않는다는 내용의 칼케돈 신조를 통해,

예수 그리스도는 완전한 인간이요, 완전한 하나님이라고 고백하였다.

자신들의 하이어라키를 더욱 튼튼하게 하기위해,

인신(人神)인 로마황제 보다 예수를 높히기 위해,

그들은 투표를 통해 예수를 신(神)으로 승격시켰다.

 

또한 칼케돈 신조에 예수가 신성을 지닌 채 태어났다는 의미인

‘테오토코스’라는 단어를 넣음에 따라,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이 분리될 수 없음을 강조하는 테오토코스를 정통 교리로 재확인하였다.

 

칼케돈 공의회의 정통교리 확립으로 유티키안주의, 콥트 교회 등 단성설을 따르는 교회나

그리스도의 인성을 강조하는 네스토리우스파 교회는 이단으로 단죄되었다.

이중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은 구분된다고 주장한 네스토리우스파는

더욱 압박을 받게 되어 중동과 중국으로 활동 무대를 옮겼다.

 

 

 

 


○ 칼케돈 신조 (451년)


거룩한 교부들을 따라 우리는 한 분이시요 동일하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고백하며

모두가 일치하여 가르치는 바는 그 동일하신 분은 신성에 있어서 완전하시며

동일하신 분이 인성에 있어서 완전하시며, 참으로 하나님이시며 참으로 사람이시며,

동일하신 분이 이성 있는 영혼과 육신으로 되시느니라.

 

신성에 있어서 아버지와 동일 본질이시며

동일하신 분이 인성에 있어서 우리와 동일본질이시니

죄 이외에는 모든 점에 있어서 우리와 같으시니라.

신성에 있어서 만세 전에 아버지에게 나시었으며 그 동일하신 분이 이 마지막 날에 우리를 위하고

우리의 구원을 위하사 인성에 있어서 하나님의 어머니(theotokos)이신 동정녀 마리아에게서 나시었느니라.

한 분이시요 동일하신 그리스도, 아들, 주, 독생자는

두 성품에 있어서 인식되되 혼합됨이 없으시며 변화됨이 없으시며

분리됨이 없으시며,

분할됨이 없으시며

– 이 연합으로 인하여 양성의 차이가 결코 제거되지 아니하며,

오히려 각 성의 특성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어 한 품격 한 개체에 있어서 결합되어 있다. –

 

그리하여 두 품격으로 분할되거나 분리되거나 하지 않으며

한 분이시오, 동일하신 아들, 독생하신 하나님, 말씀, 주 예수 그리스도시니라.

이는 옛적에 선지자들이 가르친 바요,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친히 자신에 대하여 가르치신 바이며

교부들이 신조로서 우리에게 전하여 내려오는 바와 같으니라.

“Sequentes igitur sanctos patres, unum eundemque confiteri Filium et Dominum nostrum Jesum Christum consonanter omnes decemus, eundem perfectum in deitate et eundem perfectum in humanitate; Deum verum et hominem verum eundem ex anima rationali et corpore; consubstantialem Patri secundum deitatem, consubstantialem nobis eundem secundum humanitatem; ‘per omnia nobis similem, absque peccato’: ante secula quidem de Patre genitum secundum deitatem; in novissimis autem diebus eundem propter nos et propter nostram salutem ex Maria virgine, Dei genitrice secundum humanitatem; unum eundemque Christum, Filium, Dominum, unigenitum, in duabus naturis inconfuse, immutabiliter, indivise, inseperabiliter agnoscendum: nusquam sublata differentia naturarum propter unitionem, magisque salva proprietate utriusque naturae, et in unam personam atque sunstantiam concurrente: non in duas personas partitum aut divisum, sed unum eundemque Filium et unigenitum, Deum verbum, Dominum Jesum Christum; sicut ante prophetae de eo et ipse nos Jesus Christus erudivit et patrum nobis symbolum tradidit.”

 

 

 


○ 칼케돈 신조 논쟁과 결론

 

 

콘스탄티노플신조 와 

아다나시우스신조 는,

 

예수 그리스도가 성부와 동일한 신성을 가지신 분임을 밝혔으나

예수 그리스도가 하나님이시면서 또한 완전한 사람임을

고백하는 문제를 가지고 신학자들 사이에 이론 (異論)이 많았다.

즉 그의 한 존재 안에 신성과 인성이 어떤 모양으로 연합되어 있느냐의 어려운 문제였다.

 

신인양성을 믿으면서도 그의 신성을 더 우세한 것으로 강조한 사람들은

주로 알렉산드리아 학파 (네스토리우스파, 몹수에스티아의 데오도레)에 속했었고,

그의 인성의 약화를 막으려는 사람들은 주로 안디옥 학파 (유티케스)였다.

 

이러한 기독론의 역사적인 논쟁들을 일괄하여 종식시키고

정통신조를 확립할 목적으로 로마의 감독 레오 (Leo)가

449년 6월 13일에 플라비안 (Flavian) 황제에게 보낸 편지 톰 (The Tome)에서

논쟁의 해결을 위한 신학적 시론을 발표하였었다.

황제 데오도시우스 2세는 451년에 칼케돈에서 제4차 세계교회의 에큐메니칼 회의를 소집하였다.

 

 


– 네스토리우스 (Nestorius)

  유티케스 (Eutyches)의 주장

 

벌코프 (Louis Berkhof)는 당시 그릇된 교리를 주장하였던

네스토리우스와 유티케스에 관해서 다음과 같이 잘 요약하여 설명해 주고 있다.

“몹수에스티아의 데오도레 (Theodore of Mopsuestia)와 네스토리우스는

그리스도의 완전한 인성을 강조했고, 그 안의 로고스의 내재를

신자들도 정도 차이는 있지만 똑같이 누리는 단순한 도덕적 재주로만 이해했다.

그들은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과 함께 사람을,

곧 하나님과 연합하고 하나님의 목적에 동참하지만

단일한 인격적 생명의 하나 됨에서는 그와 하나가 아닌 사람을 보았던 것이다.

즉, 두 인격으로 구성된 한 중보자를 보았다.

이에 반대하여 알렉산드리아의 시릴(Cyril of Alexandria)은

그리스도의 인격의 단일성을 강조했고,

그의 반대자들은 그가 양성을 부인했다고 생각한다.

아마도 반대자들이 오해한 듯싶지만, 유티케스와 그 일파는,

"그리스도의 인성이 신성에 의해 흡수되었거나

양성이 융합하여 단일한 본성이 되었다는,

그리스도의 양성을 부인하는 입장을 취하면서 그 근거로 시릴을 인용하였다.”

 

 

 


– 칼케돈회의의 결정 내용

ㅡ기독론 논쟁 - 451년 칼케돈 회의

 


벌코프 (Louis Berkhof)는

칼케돈 신조의 진술에 관한 가장 중요한 내용으로 다음과 같이 4가지를 들고 있다.

 


① 양성의 특성은 일위에 속한다. 예를 들면, 전지(全知)와 제한된 지식과 같은 것이다.
② 신인의 수난은 참으로 무한한 것일 수 있으나, 그 신성은 감각할 수 없다.
③ 그리스도의 인격의 근거와 기초를 이루는 것은 인성이 아니고 신성이다.
④ 로고스는 어떤 독특한 인간 개체와 연합한 것이 아니라, 인성과 연합한 것이다.
처음부터 신격의 제2위와 연합된 개인이 있은 것이 아니라

동정녀의 복중(腹中)에서 인간의 본질과 연합한 것이다.

 

 


○ 칼케돈 신조의 특징 및 평가


– 특징

이러한 칼케돈 신조는 동방, 특히 발칸반도의 저속화 된 기독교를 정화하기 위하여

753년 콘스탄티노플 노회에서 결의한 ‘성상 반대 결의’에 기본 정신이 되었다.

 


– 평가

벌코프 (Louis Berkhof)는 칼케돈 신조는

“양극단의 견해를 전부 정죄하고, 위 (인격)의 단일성 (unity)과 양성을 함께 주장했다”는데

큰 의의를 두지만 아쉬운 점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니케아 회의가 삼위일체 논쟁을 끝마치지 못한 것처럼 칼케돈 회의도 기독론 논쟁의 종결을 짓지 못하였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ㅡ니케아 공의회는 325년 6월 19일 니케아 황제의 별궁에서 열린 기독교의 공의회이다. 부활절과 삼위일체 등이 논의되었으며, 니케아 신경을 채택하여 아리우스파를 이단으로 정죄하면서 보편교회의 정치적 외연이 확대되었다.

 

* 니케야 회의(325) :

아리우스(신성 부인, 유사본질론),  알렉산더(동일본질론), 

아다나시우스, "그리스도는 하나님으로부터의 하나님이시오... 본질과 위격은 같다."

결과 : 아리우스의 교리를 이단설로 정죄하고

아다나시우스의 교리를 정통교리로 확인하고 니케야 신조를 확정함

 

* 콘스탄티노플 회의(381)

아폴리나리스주의 - 그리스도의 인성 부인, 로고스, 단성론.

마케도니안주의(성령훼방파) - 성령은 물질적, 성령의 유사본질, 성령은 피조물.

카파도키아 교부들 - 바실리우스,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 닛사의 그레고리.(싸우면서 정통교리를 확립한 쪽)

필리오케Filioque(~와 성자로부터)

 

* 에베소회의(431)

- 양성론. 정치적인 성격이 강함.

네스토리우스 - 일성론자(신성이 인성을 흡수)를 대항하여 신성과 인성의 분리 강조. θεοτοκος(신모)

알렉산드리아의 시릴 - 양성의 결합을 강조,

 

 

 

* 칼세돈회의(451) - 기독론 확립

유티케스 - 그리스도의 인성의 완전성은 폐기되었고 실제로 인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결정사항 - 신, 인 양성은 혼동, 변함이 없고(반 유티커스), 분리, 분활이 없다(반 네스토리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