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나린푸실 이야기/신학 이야기

■욥(JOB)

Narin Pusil 2021. 8. 27. 07:19

 

사람은 주위 환경에서 얻어진 것들이 자신의 신념이 되어

그 사고 범위내 에서 그것으로 인생울 살아가지요....

원래의 욥기 작품은 소포클레스를 비롯한 고대 그리이스 비극작가들의 작품들이 절정을 이뤘던

BC4세기의 그리이스 시대와 맞물려있는 시대에 나온 작품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당시에는 서구세계의 학문과 예술의 중심이 그곳이었으니까 ...

 

 

https://cafe.daum.net/bgtopia/NkwY/860?svc=cafeapi

 

※생활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인간의 고통의 삶의 극단을 보여주는 비극작품, #욥(Job)

《■BC4세기 전후, 비극 작품시대의 비극 작품의 하나, 욥(Job)》1. 욥기는 모든 것을 풍족하게 누리던 중, 하루 아침에 완전한 붕괴의 고통을 겪던 한 남자 욥에 관한 이야기다.    노아시대 홍수

cafe.daum.net

 

욥기 전반

 


욥기는 모든 것을 풍족하게 누리던 중 하루 아침에 완전한 붕괴의 고통을 겪던 한 남자 욥에 관한 이야기다.

노아시대 홍수로 비참한 죽음을 맞이했던 수많은 사람들 처럼

바이블 등장인물들 중에서 욥은 가장(예수보다도 더)비참한 인물로 보인다.

 


1)

욥기 1장에 등장하는 하나님과 사탄과의 대화에서 보듯이

역사적 사실을 기록한 것이라기 보다는 문학적 장르를 통한 권선징악을 전하는

설화적 희곡문학으로 고통을 정당화하는 이데올로기 구축과 그것을 비판하는 역사상 최초의 작품이다,

즉, 욥기 자체가 심청전 같은 그 시대에 필요해서 만들어진 고대소설로 봐도 된다는 말이다.


2)

욥기는 저자, 저작연대 시대적 배경에 대한 역사적 자료가 없다.

다만 욥기가 가나안, 아람 지역의 문헌과 비슷한 형식과 B.C 1700년대 바빌로니아와

이집트의 지혜 문헌들의 주제들과 평행을 이루는 것으로 보아

아브라함 시대에 있었던 일을 훗날에 각색하여 만든 비극작품이다.

 

하지만 아람이나 에돔 같은 외국, 즉 이스라엘 밖을 배경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구약성서의 역사 이야기를 욥기의 시대적인 배경으로 사용할 수 가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욥기 전체는 그것이 묘사하고 있는 사건들보다 한참 후에 기록 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수메르 아카드 이집트 가나안 앗시리아 바벨론 페르시아 등등에 고난을 당해오던 이스라엘,

귀환 후 이스라엘 민족의 쓰라린 역사,

▶▶그런 이스라엘과 이스라엘 역사를 욥과 욥기로 묘사하여 쓴 시대적 작품은 아닐까 한다.

 


3)

새파랗게 젊은 엘리후가 당대에 의로운 이의 대명사 나이가 든 욥에게 갑자기 나타나

의로움과 지혜에 대해 가르치는 32~37장은 후대에 덧붙여 졌다고 한다.

 

(또한 훗날에 첨가된 신의 보상을 받는 이야기도 ..)

원래의 욥기 작품은 소포클레스를 비롯한 비극작가들의 작품들이 절정을 이뤘던

BC4세기의 그리이스 시대와 맞물려있는 시대에 나온 작품으로 보여진다.

도덕론이나 문집 심지어 기독교 설교문에 원용되기까지한

3대 비극작가의 하나인 에우리 피데스의 비극작품 처럼

 

욥기도 바로 무대위에 올릴수 있을만큼

인물(배우), 대화(희곡)나 배경(장소), 그리고 관객이라는

요소가 갖추어진 (훗날 첨가된 후반부를 제외 한다면) 대화체 형식의 비극 작품인 것이다.


욥의 저자는 고대 이스라엘 밖의 문화 강대국의 산문체 전설을 틀로 삼아 자신의 시(詩)들을 배열하고 있다.

 




욥기와 선과 악의 문제


구약 성서속에 있는 욥기는,
"인간이 당하는 고통에는 의미가 있다?" 라는 인류에게 가장 어려운 질문을 던지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악의 문제(problem of evil)에 대한 철학적·종교적 견해에서 발생하는 신학문제는
① 신은 전능하다, ② 신은 전적으로 선하다, ③ 악은 존재한다 .. 는 3가지 명제를 인정하는 데서 출발한다.

만일 악이 존재한다면,
1.신은 악을 없애기를 바라지만 없앨 수 없거나 (그렇다면 신의 전능이 부정됨),
2.신은 악을 없앨 수 있으나 없애려 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신의 선함이 부정됨).
악에 관한 신학문제는 3가지 명제 중 어느 하나를 부정함으로써 논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에피쿠로스의 신(神)과 악의 명제
1. 신은 악을 없앨 의지는 있는데 능력이 없는가? 그렇다면, 그는 전지전능하지 않다.
2. 신은 악을 없앨 능력은 있는데 의지가 없는가? 그렇다면, 그는 악한 것이다.
3. 신은 악을 없앨 능력도 있고 의지도 있는가? 그렇다면, 세상의 악은 대체 왜 존재하는가
4. 신은 악을 없앨 능력도 없고 의지도 없는가? 그렇다면, 왜 그를 신이라 불러야 하는가?

 

 



욥과  신과  나


기독교계에서는 흔히 욥을 가리켜 고통을 참아내는 인물,

신에 대한 굳은 믿음으로 시련을 견디는 인물이라고 말하고 사회에서도 지금까지 회자되고 있읍니다.

그러나 나중에 욥이 보상을 받았다는 욥기 후반 부분은

이해가 부족한 사람들이나 혹은 받아드리기 힘든 사람들을 위해서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후에 첨가 되었다고 하는 것이 정설이라고 합니다.

악이 선을 소멸시킬 수 없기에, 인간은 이 독립적인 둘 간의 영원한 싸움의 희생양이 되어야 한다.

세상에 존재하는 악을 원하지 않지만 허락해야 한다면 신은 전능하지 않다.

거꾸로 악을 막을 수 있지만 막지 않는다면 신은 자비롭지 않다.

악을 막지도 못하고 악을 원하기까지 한다면 우리가 믿는 신이 아닐 것이다.

악을 원하지도 않고 막을 수도 있기에 우리가 굳게 믿는 신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신이 존재하는데 어떻게 세상에 악이 존재할 수 있는가?

또한 선과 악의 차이는 무엇일까?

어떤 무시무시한 능력을 보이고자 하는 존재가 너무너무 사랑하는

그래서 점찍어 논, 한 개인의 가족은 물론이거니와 가금류의 목숨들과

모든 재산도 빼앗아 가게 계획을 세운 그 존재 ...

'욥'이라는 인물도 갈등끝에 신이 찾아와 해결을 해 주지만

여러분이나 제가 그런 지경에 이르르게 된다면

과연 믿음이라는 것을 그래도 끝까지 세워 갈수 있겠는지요....

 

 

 

https://cafe.daum.net/bgtopia/Miqe/136?svc=cafeapi

 

Re : 욥기(The Book of Job)

〈욥기〉는 〈잠언〉과 〈전도서〉와 함께 〈구약성서〉에서 케투빔(지혜문학) 범주에 속한다. 1. 욥기 저자,저작연대 시대적배경에 대한역사적 자료가 없다. 다만욥기가 가나안, 아람 지역의

cafe.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