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정복설 2

7-2. 가나안 정착 3가지 설과 히브리 개념

7.2 가나안 정착 3가지 설과 히브리 개념 ■ 히브리 족속(이스라엘)의 가나안 정착 3가지 가설 ▶히브리(Hebreer : hibri, habiru)[1] 1. 고대 이스라엘의 공용어이다. 2000여년 이상 유대(교)언어로 바이블이라 불리는 유대경전(타나크), 미쉬나 등의 연구, 종교의식, 기도, 또는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서로 떨어진 유대인 공동체 사이의 소통 수단에서나 사용하던 고대 유대인들의 언어를 근대에 와서 '엘리에제르 벤-예후다(אֱלִיעֶזֶר בֶּן־יְהוּדָה)'가 부활시킨 언어다. 이 언어의 이름인 '히브리'는, 2가지설이 있는데 첫번째는. 기원전 유프라테스 강을 넘어팔레스타인 지방으로 이주해온 사람들을 '헤브루 인'이라 불렀던 것에서 유래한다. 기원전 3000년경, 가나안 땅..

4. 출애굽의 전단계 -1

■출애굽 전단계 -1  "내 백성을 보내라."   (출애굽기 5장 1절)  .. 라는 이스라엘 하나님이라는, 야훼의 분부가 토라(Tora)의 출애굽기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다.     *야곱족속의 후손이 고센(애굽)의 북부에서 400여년이 지나 인구도 엄청나게 불었다.  그러나 이들과 brothership이 있던 왕조(힉소스 파라오 15/16왕조)가, 상이집트에서 하이집트로 밀고 올라온 원-이집트(카모세 17왕조)에 의해 북쪽으로 밀리게 되었고,새롭게 등장한 이집트 신왕조, 18왕조를 세운 아흐모세(1550 -1525, 카모세의 동생))에 의해 이집트 땅에서 완전히 축출되었고, 그때는 오래지 않아 히타이트에게 멸망당한, 인도아리안계의 미탄니 왕국이 아직 강대했기에, 16왕조 무리는 동쪽으로 향했고 그래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