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역사 2

(3-3) 설화(신화와 전설)와 역사

3.3  설화(신화와 전설)와 역사   ♣신화와 전설을 묶어서 설화라고 하는데,여기에 역사적 사실과 함께 신화-전설--기록에 대한 양식을 이해하는 것은,특히 Bible과 같이 특정 집단(민족)의 전승적 스토리가 말하고자 하는 의미에 대한 진실을 알아내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되기도 한다.신화, 전설 그리고 역사... 공(共)히, 사실과 함께 주관적인 작가적 상상력(Writer's Imagination)이 수반된다.    신화는 옛날 사람들이 자신들이 살고 있는 세계와 삶에 대해, 또는 그 기원에 대해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그 시대 분위기, 그 패러다임에서 나온 사고를 담은 이야기다.그러니까 신화는 실제 사건을 기초로 기록된 역사와 구분된다는 것이다. 말하자면 역사는 ‘사실’에 의거하지만..

3. 모세5경을 어떻게 볼것인가? ▶ (3-1) 문맹과 드라마틱한 스토리 텔링

3.1  모세5경을 어떻게 볼것인가?   (1) 문맹사회라는 현실에 따른, 드라마틱한 스토리 텔링▶어떤 주장이나 기록이 역사적 사실로 증명되려면, 다른 문헌이나 고고학 자료에 의해 검증되어야 한다.   ▶ 신화나 전설 가운데는 역사와 무관하게 어떤 의미 전달을 위해 비유적으로 의도적으로 만들어 낸 경우가 있고, 역사적 사건을 기반으로 신비한 혹은 을 사용해서 듣는이들의 관심을 쏟게 만든이야기들이 있다. 이런 경우에는 비록 신화나 전설이라 하더라도 역사적 사실과 어울려 있다는 것이다.   ▶ 이를테면 오경의 신비한 마술적인 이야기, 출애굽기 4장의 야훼와 모세간에 벌어지는 지팡이를 던지면 뱀이 되고 꼬리를 잡으면 다시 지팡이가 되었다는 이야기를 일단 떠올려 보자.    ▶ 학술탐사 여정중에, 메테오라(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