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시간 2

관념에 하나인 시간이라는 것도, 사물을 지각(知覺, perception)하는 것과 같이, 그에대한 인식이나 지각이 없으면 설정할 수 없는 것이다. ㅡ JK

시간(時間 / time)은 시각과 시각 사이의 간격 또는 그 단위를 일컫는 말이다. 물리학자들이 우주의 진실을 알아내기 위한 측정 도구로써, 기술로 활용하기 위한 이유 등으로 에너지, 시간, 공간을 가정하였다.길이, 질량과 같이 다른 물리량을 정하는 기본 단위이며, 물리적 시간을 정하기 위해 현재는 세슘 원자시계나 스트로보스코프 등을 이용한다. 이 시계를 이용하여 협정 세계시(UTC)가 국제 표준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처럼 우리말에서 시간이란 단어는 동음이의어로, 시간의 개념 그 자체(즉 time)와 더불어 시간의 단위 중 하나(즉 hour, 60분)를 지칭한다. 허나 의외로 일상생활에서 이로 인한 혼동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오히려 시간과 시각의 혼동이 빈번.빅뱅 우주론에 따르면 현재 우주에서 흐른 ..

■나린푸실의 <존재와 시간> : 우주가, 세상이, 내가 어찌 있게 되었는가?

비존재를 존재화 시킨, 서양(기독교)철학의 한계 ※우주가, 세상이, 내가 ... 어찌 있게 되었는가? ①이데아의 비존재를 존재화시켜 현상계에 그것을 끌어들였던 고대 그리이스의 신화적 사고 분위기에 있었던, 어떤이의 작가적상상력(Writer's Imagination)으로 주장하는 서양철학과는 달리, 현상계의 존재에 대해서만 논하는 동양철학(四書:사서). 하늘님(天主:천주, 하느님)이라는 정의와 진리의 대상이 있지만 .... ②우주를 바라보는 시각은 2천년전의 신비에 물들어 있던, 신정시대 - 왕정시대의 신화적 사회 분위기의 Philosophical thinking based on mythology(신화에 바탕을 둔 철학적 사고방식)에서 나오는 이원론적 철학적 시각이었지만, 21세기 오늘날은 경이로운 우주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