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과정철학 2

화이트 헤드의 종교관, 종교는 외로움의 산물이다.

과정철학의 선구자 화이트 헤드(White Head)는, "외로움 혹은 고독의 문제는 궁극적 정당화(Ultimate justification)를 불러온다"라고 했다. 또한 종교는 외로움 가운데서 작가적 상상(Writer's Imagination)에 의해 나타나게 된다고도 했다. 외로움(loneliness)은 혼자라는 정서적 느낌에 속하지만, 고독(solitariness)은 더욱 광범위한 일반성을 갖는 것이며, 근원적인 존재 지평의 자리를 얘기합니다. "고독 그 자체는 종교적--전단계(pre-religious)라며 종교는 고독 가운데 잠재해 있었다" 라고 화이트헤드는 말한다. 그래서인지 고독에 빗대, 철학에서는 간혹 실존(existence)이라고도 합니다. 종교는 어떤 개인이 자신의 고독에서 나온 작가적 상..

5. 과정신학(Process theology)- 2. 과정철학

과정철학 (Process philosophy) 생성의 존재론, 과정주의[1], 유기체 철학[2]) 변화와 발전을 갖는 형이상학적 실재를 밝히는 사고이다. 1. 이원론의 플라톤 이후 철학자들은 영원한 본질(permanent substance)에 근거하여 참된 실재(true reality)를 영원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그러하던 것이 영원한 본질이 거부되거나 종속되는 것으로 보기 시작했다. 어떤 실재가 변화된다는 것을 부정해오던 고전존재론이 과정이론에 오히려 고전철학 사고가 부정되기 시작했다. 2. 헤라클레이토스의 개념에 착안한 철학자들은 존재의 물리학과 생성의 물리학을 구별했다.[3] 그런 개념에 의해 화이트헤드는 ‘고정 불변하는 실재(reality)란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으며, 철학적 개념(또는 안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