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야 믿고, 알게되면 못 믿는다.

성(聖賢)현님들의 가르침 말고, 종교는 구라고 사기다.

▪︎진리(Truth),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 .. '자유함'이고, '복'이다.

사르트르 3

■죽음과 실존(Death and Existence)

"두비토, 에르고 코기토, 에르고 숨" “ dubito, ergo cogito, ergo sum 나는 의심한다. 그러므로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 “ I doubt it. Therefore I think. Therefore, I exist.” 지난날의 삶의 주제인 신(god)으로 부터, 인간으로 바뀌게 된 단초를 제공해 준, 데카르트(René Descartes [ʁəne dekaʁt)의 혁명적인 깨달음이었다. who provided the starting point from 'God', the subject of the past, to 'human', It was Descartes' revolutionary enlightenment and realization. ■데카르트보다 1900년전..

예수의 실존사상과 동학(東學)

하나님이 너와 함께 계신다 ■ (the kingdom of) GOD is at Hand (Mark 1:15 NASB) ■(the kingdom of) GOD is in your Midst (Zephaniah 3:17, Luke 17:21 NASB) ■한울님은 항상 마음속에 있다는 그래서 그 마음과 항상 살아가다 한울님께 돌아 간다는 수운 최제우 선생(1824 ~ 1864)의 시천주(侍天主:한울님을 모심)사상은, 뒤를 이은 해월 최시형 선생(1827 ~ 1898)은 사인여천(事人如天, 사람을 한울님같이 섬기라)으로 ■또한 뒤를이은 3.1혁명을 있게한 손병희(孫秉熙, 1861~1922)선생은 동학을 재정비하였다. 우선 문명개화를 통한 부국강병이 조선의 국운을 살리고, 동학을 재건하는 길로 여겼던 손병희는, ..

제 28강 [샤르트르 / 카뮈] 어머니 왜 날 낳으셨나요?

시드니 인문학교실, 홍길복의 인문학강좌(2021-01) 또 다시 인간이란 무엇인가? 사르트르와 카뮈를 중심한 戰後 실존주의 이야기 ⚫ 후기(戰後)실존주의 철학의 배경 - 19세기 초중엽 키에르케고르를 필두로 대두된 실존주의 철학의 일반적 배경에 대해서는 이미 말씀을 드렸습니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서면서 다시 강력하게 되살아난 실존주의 철학사상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배경이 있습니다. (1) 그 첫째는 지난 시간에도 말씀드렸지만 양차 세계대전과 그 와중에서 실제로 일어난 인간 비극과 상실의 경험입니다. 제 1차 세계 대전 중 유럽은 피차 4000만명 이상의 인간 생명을 살육했고 제 2차 대전 중에는 6000만 이상을 도륙했습니다. 히틀러는 유태인들만 해도 600만명 이상을 가스실로 몰아넣었습니다. 이..